부동산/공인중개사
2021. 6. 2.
[부동산학 개론] #11 부동산 경제론 (feat. 공급의 가격탄력성, 균형 이동)
오늘은 공급의 가격탄력성에 대해서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어떤 재화의 가격변화율에 대한 그 재화의 공급량의 변화 비율을 말합니다.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마찬가지로 완전 탄력, 탄력, 단위, 비탄력, 완전 비탄력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수평에 가까울수록 탄력, 수직에 가까울 수록 비탄력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러한 공급의 가격탄력성의 크기 결정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간의 장단 (측정되는 기간이 길수록 탄력적) - 용도 변경 가능성이 클수록 탄력적 - 제한하는 법규가 많을 수록 비탄력적 (제한이 많을 수록 선택폭이 좁아 비탄력) - 생산에 소요되는 기간이 장기일수록 비탄력적 - 생산요소가격이 상승할수록 비탄력적 여기서 생산에 소요되는 기간이 장기일수록 비탄력적과 생산요소가격이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