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공인중개사

[부동산학 개론] #11 부동산 경제론 (feat. 공급의 가격탄력성, 균형 이동)

반응형

 

 오늘은 공급의 가격탄력성에 대해서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공급의 가격탄력성은 어떤 재화의 가격변화율에 대한 그 재화의 공급량의 변화 비율을 말합니다.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마찬가지로 완전 탄력, 탄력, 단위, 비탄력, 완전 비탄력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수평에 가까울수록 탄력, 수직에 가까울 수록 비탄력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러한 공급의 가격탄력성의 크기 결정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간의 장단 (측정되는 기간이 길수록 탄력적)
- 용도 변경 가능성이 클수록 탄력적
- 제한하는 법규가 많을 수록 비탄력적 (제한이 많을 수록 선택폭이 좁아 비탄력)
- 생산에 소요되는 기간이 장기일수록 비탄력적
- 생산요소가격이 상승할수록 비탄력적

 

 여기서 생산에 소요되는 기간이 장기일수록 비탄력적과 생산요소가격이 상승할수록 탄력적이 헷갈릴 수 있습니다. 외우기 쉽게 이렇게 생각하도록 합시다. 생산요소가격이 하락하면 '이걸로 살까, 저걸로 살까' 선택의 폭이 많지만, 반대로 상승한다면 공급자 입장에서는 선택의 여지가 없이 가장 싼 것으로 해야합니다. 그럼 선택의 폭이 적은 생산요소 가격이 상승하면 비탄력적이라는 것이 이해가 되실 것입니다. 또한 생산에 소요되는 기간이 장기일수록 비탄력적인 뜻은 생각하는 기간이 많은것이 아닙니다. 집을 짓는데 1년만에 지을 수 있는 집과 10년동안 지어야 하는 집은 1년만에 지을 수 있는 집이 탄력적일 것입니다. 같은 10년이라는 세월동안 1년은 10채를 짓고, 10년은 1채를 짓습니다. 당연히 선택의 폭이 넓은 것은 생산 소요기간이 짧은 것이고, 반대로 생산에 소요되는 기간이 장기인 경우 선택의 폭이 좁아 비탄력적인 것입니다.

 


 

 그럼 마지막으로 탄력성과 균형의 이동에 대해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균형은 수요와 공급이 만나는 지점입니다. 하지만 원리는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공부했던 내용과 똑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수요가 비탄력적이면 기울기는 수직에 가깝고 공급곡선이 이동할 경우 가격 변동폭은 위아래로 크게 움직입니다. 같은 원리로 공급이 비탄력적인 경우 공급곡선이 수직에 가깝고 수요곡선이 움직일 경우 위아래로 변동폭이 크게 움직이게 되는 것이죠. 결국 수요나 공급이나 비탄력적으로 기울기가 수직에 가까울 수록 다른 곡선이 움직일 때 가격 등락폭이 커지게 됩니다.

 

 만약 수요나 공급이 완전 탄력적이나 비탄력적인 경우는 어떻게 되는 걸까요? 예를들어 수요곡선이 수평인 경우 공급곡선의 수량이 변동(그래프의 좌, 우로 이동)하더라도 기울기의 높이가 없기 때문에 가격은 변함이 없을 것입니다. 바꿔서 공급곡선이 수직인 경우에도 동일하겠죠?! 수요곡선이나 공급곡선이 수직인 경우에도 가격이 아무리 변동(그래프의 위, 아래로 이동) 하더라도 좌우의 치우침이 없기 때문에 수량은 변동이 없을 것입니다. 혹시나 설명이 부족하거나 이해가 안되시는 분들은 아래의 수요의 가격탄력성 포스팅을 한번더 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물론 댓글로 남겨주셔도 좋구요!

 

 

 

[부동산학 개론] #09 부동산 경제론 (feat. 수요의 가격탄력성)

 드디어 부동산 경제론의 수요 공급 파트의 마지막 단원인 탄력성에 대해서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탄력성이란 어떤 충격에 대해 반응하는 크기의 정도를 의미하는 것인데, 물리학적인 개

ivestmentworld.tistory.com

 

 

 그럼 지금까지 탄력성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부동산 경제론의 수요, 공급파트의 기본적인 이론에 대해서 살펴보았고 다음 포스팅에서는 경기변동에 대해서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다들 열공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