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공인중개사

[부동산학 개론] #10 부동산 경제론 (feat. 수요의 소득탄력성, 교차탄력성)

반응형

 

 벌써 부동산학 개론 10번째 포스팅입니다. 아직 절반도 오지는 못했지만 한 단원 한 단원 한 번은 끝내는 것에 의의를 두면서 천천히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포스팅은 수요의 가격탄력성까지 공부하였고 오늘은 이어서 수요의 소득탄력성과 교차 탄력성에 대해서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수요의 소득탄력성은 소득변화율에 대한 수요량 변화율입니다. 디테일한 공식은 앞서 말했다시피, 깔끔히 다음 기회에 공부하기로 하고 "우등재와 수요의 소득탄력성", "열등재와 수요의 소득탄력성"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소득이 우등재와 열등재에 관련 있다고 생각할 수 있는 이유는 "돈 벌면 아파트 (우등재) 사고 싶어? 초가집 (열등재) 사고 싶어?" 정도로 생각합니다.

 

 우등재 같은 경우 소득이 증가하면 수요가 증가합니다. 만약 소득이 감소할 경우 수요가 감소하겠죠. 즉, 같은 방향으로 소득과 수요가 움직이기 때문에 부호가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반대로 열등재인 경우 소득이 증가하면 수요가 감소하고, 소득이 감소하면 수요가 증가합니다. 즉, 다른 방향으로 소득과 수요가 움직이기 때문에 조금만 더 풀어서 설명하면, 분모와 분자의 부호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약간 설명이 어려울 수 있는데 정말 쉽습니다. 예를 들어 소득이 10% 증가하였는데 어떤 부동산의 수요량이 10% 증가하였을 경우 이 부동산은 같은 방향으로 움직였기 때문에 정상재라고 볼 수 있습니다. 

 

 수요의 소득탄력성은 여기까지만 보도록 하고 실전문제나 계산문제는 이론을 마치고 심화과정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바로 다음 이론 공부로 수요의 교차 탄력성에 대해서 공부하도록 합시다. 

 


 

 수요의 교차탄력성이란 어떤 재화의 가격 변화율에 대한 다른 재화의 수요량 변화율을 말합니다. A라는 물건의 가격 변화율과 B라는 물건의 수요량을 비교하는 것이기 때문에 두 상품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과 연관이 있을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대체재와 보완재로 볼 수 있겠죠. 그렇다면 지금부터 "대체재와 수요의 교차 탄력성""보완재와 수요의 교차 탄력성"에 대해서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대체관계에 있는 두 물건 중 A 물건의 가격이 상승하면 대체할 수 있는 재화가 있기 때문에 B물건의 수요량은 증가할 것입니다. "콜라 안 먹어! 사이다 먹을 거야!" 같은 예이죠. 가격이 상승하는데 다른 재화의 수요가 증가한다는 것은 같은 방향이기 때문에 같은 부호로서 양수를 의미하고, 교차 탄력성이 0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보완관계에 있는 재화라면 A 물건의 재화의 가격이 상승하면, 같이 사야 하는 재화이기 때문에 B물건의 수요량은 감소할 것입니다. 즉, 다른 부호로서 음수를 의미하고 교차 탄력성은 0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수요의 교차탄력성도 우선 이 정도만 집고 심화과정에서 조금 더 디테일하게 집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정말 간단하게 수요의 소득탄력성과 교차 탄력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요. 너무 간단하게 살펴보아서 사실 볼 게 있었나 싶습니다..ㅎㅎ 그래도 이 정도 이론이 왕초보 기초이론이기에 이 정도만 잡고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추후 덧붙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다음 포스팅은 공급의 가격탄력성과 탄력성 균형 이동에 대해서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하루하루 공부하기 힘드실 텐데 화이팅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