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공부할 내용은 수요곡선입니다. 수요곡선은 다른 수요 결정요인은 일정하다는 전제 하에 당해 재화의 가격과 수요량 사이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입니다. 너무 어렵게 설명했는데, 그냥 수요곡선은 간단히 말해서 가격이 얼마일 때 몇 개 팔리냐 정도를 그래프로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하겠습니다. 즉, 수요곡선에서는 확인할 수 있는 것은 그 재화의 가격 수준에 따라 수요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수량입니다. 그래서 수요곡선, 공급곡선의 그래프는 X축은 수량, Y축은 가격으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가격과 수량으로 구성된다는 말을 잠시 기억해 두세요!)
수요곡선은 일반적으로 우하향하는 형태를 갖습니다. 물론 예외적으로 수평, 수직선으로 나타나거나 우상향 형태로 나타나기는 하지만 일반적인 것은 아닙니다. 수요곡선은 개별수요곡선과 시장 수요곡선을 볼 수 있는데, 개별수요곡선은 개별 수요자들이 각각의 가격 수준에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수량을 나타내는 곡선이고, 시장 수요곡선은 이러한 개별수요곡선을 전부 반영하여 나타낸 곡선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시장 수요곡선은 개별수요곡선보다는 완만한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제 공부할 파트는 수요법칙인데요. 수요 법칙이란 어떤 재화의 가격이 하락하면 그 수요량은 증가하고, 가격이 상승하면 수요량이 감소한다는 것으로 가격과 수요량의 반비례 관계를 말합니다. 이러한 수요 법칙이 성립하는 이유는 가격효과와 소득효과, 대체효과를 들 수 있는데요. 이러한 효과는 앞서 설명한 수요 결정요인을 참고하여 생각해 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다음은 "수요량 변화"와 "수요변화" 입니다. 한 끗 차이지만 거의 매년 출제가 되는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반드시 알아야 하는 부분이기도 하죠. 아시다시피, 수요 결정요인이 변화하면 수요량은 변화하게 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수요 결정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었죠. 가격도 있고, 소득도 있고, 관련재 가격도 있고.. 그중에서 "그 재화의 가격이 변하는 경우" 동일한 수요곡선 상에서 점의 변화가 바로 수요량의 변화입니다. 즉, 수요량의 변화는 점의 이동인데요. 점이 이동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앞서 그래프는 가격과 수량으로 구성된다고 말했습니다. (잠시만 기억해두자고 한 부분이요) 그래프의 구성요소인 가격이 변하였기 때문에 곡선 안의 점이 이동되는 것입니다. 만약 소득이나 관련재의 가격, 기호 등의 변화는 그래프의 구성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수요곡선 자체의 이동으로 표시가 되는 것입니다. 이때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수요 증가이고,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수요 감소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그래프의 구성요소인 수량이 오른쪽으로 가면 많아지는 것이고, 왼쪽으로 가면 적어지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이해가 되지 않을 경우! 아래의 것만 생각합니다!
✔ 수요량 변화 : 해당 재화의 가격 변화 -점의 이동
✔ 수요 변화 : 가격 이외의 변화 (소득, 관련재 가격, 기호 등) - 선의 이동
수요량 변화인 가격의 변화를 보았으니 이제 다른 수요 결정요인의 변화를 살펴보겠습니다. 가격 이외의 변화를 살펴볼 것이기 때문에 앞서 배운 것을 토대로 추측해 본다면 수요 변화일 것이고 수요곡선이 이동할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죠. 살펴볼 변화는 소득변화와 관련재 가격 변화, 수요자 예상, 이자율 변화 정도로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소득변화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소득에는 우등재와 열등재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소득이 만약 증가할 경우 우등재(정상재)의 수요는 증가할 것이고, 수요곡선은 우측으로 이동할 것입니다. 반대로 열등재의 경우는 소득이 증가할 경우 수요는 감소하고 수요곡선은 좌측으로 이동하겠죠.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수요 변화의 요인 | 수요변화 | 수요곡선의 이동 | |
정상재 | 소득 증가 | 수요 증가 | 우측 이동 |
소득 감소 | 수요 감소 | 좌측 이동 | |
열등재 | 소득 증가 | 수요 감소 | 좌측 이동 |
소득 감소 | 수요 증가 | 우측 이동 |
다음은 관련재 가격 변화인데요. 관련재는 대체재와 보완재가 있다고 설명하였습니다. 대체재는 사과와 배로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하죠.
저는 사과장수 입니다. 옆집의 배 아저씨와 경쟁을 하고 있죠.
배 아저씨가 갑자기 배 가격을 엄청나게 올려 버렸네요!?
사람들이 배가 너무 비싸다며, 사과를 먹겠다고 저에게 오고 있습니다.
저는 가만히 앉아서 돈방석에 맞았습니다.
위의 이야기를 설명하면 대체재인 배의 가격이 올라 사과의 수요가 상승하고, 수요곡선은 우측으로 이동하였습니다. 이제 보완재에 대한 예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아침, 점심, 저녁을 시리얼로 먹습니다.
그런데 이게 웬일!?!
시리얼이 대박 할인 행사를 하고 있네요.
이틈에 시리얼을 엄청나게 많이 샀습니다.
시리얼을 먹기 위해서 우유도 계속 사야죠!!
위의 예시는 보완재의 가격이 하락하였기 때문에 해당 재화의 수요가 증가하였고 수요곡선은 우측으로 이동하였을 것입니다. 가격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았으니 이제 수요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겠습니다.
저는 사과장수 입니다.
요즘 언론에서 사과를 많이 먹으면 건강해진다는 방송이 나오면서 손님이 증가하였습니다.
배를 먹던 손님들도 사과 먹으려고 우리 집으로 온답니다.
옆집 배 아저씨는 장사가 안돼서 죽을 맛이라고 하네요.
배 아저씨 입장에서는 대체재인 사과의 수요 증가로 인하여 배의 수요가 감소하였고, 수요곡선은 좌측으로 이동합니다. 다음은 보완재의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저는 다이어트를 결심하였는데,
이게 왠일!?
매일 시리얼을 먹으면 살이 빠진다는 방송이 나왔네요.
지금 당장 시리얼과 우유 사러 가야겠습니다!
시리얼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보완재인 우유의 수요도 같이 증가하였고, 수요곡선은 우측으로 이동하겠죠?!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수요 변화의 요인 | 당해 재화 수요 변화 | 당해 재화 수요곡선의 이동 | |
대체재 | 가격 하락 | 수요 감소 | 좌측 이동 |
가격 상승 | 수요 증가 | 우측 이동 | |
보완재 | 가격 하락 | 수요 증가 | 우측 이동 |
가격 상승 | 수요 감소 | 좌측 이동 |
수요 변화의 요인 | 당해 재화 수요변화 | 당해 재화 수요곡선의 이동 | |
대체재 | 수요 증가 | 수요 감소 | 좌측 이동 |
수요 감소 | 수요 증가 | 우측 이동 | |
보완재 | 수요 증가 | 수요 증가 | 우측 이동 |
수요 감소 | 수요 감소 | 좌측 이동 |
마지막으로 수요자 예상과 이자율 변화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수요자가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경우 수요가 증가하여, 수요곡선은 우측으로 이동합니다. 반대로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한다면 수요가 감소하고, 수요곡선은 좌측으로 이동하겠죠!? 또한 이자율이 하락하면 주택 구입비용이 감소하게 되면서 자가 수요나 임차수요가 증가하고, 인구가 증가하거나 아파트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면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합니다.
그럼 지금까지 수요량 변화와 수요 변화에 대해서 공부하였습니다. 그럼 지금부터는 시험의 비중이 작은 부동산 수요의 특징과 분류에 대해서 아주 간단히 공부하겠습니다.
부동산 수요의 특징은 일반 재화에 비하여 부동산 수요의 의사결정에 있어서 전문지식이 필요합니다. 또한 구매절차에 있어서도 등기라는 특수한 방법이 쓰이며,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구매자금을 모으는데 오랜 기간이 요구됩니다. 들으면 이해되는 내용이기 때문에 문제 될 것은 없어 보입니다.
마지막으로 수요의 분류는 실수요와 가수요에 대해서만 살펴보겠습니다. 다른 유효수요와 잠재적 수요, 자가수요, 임차수요 등은 사실 보면 알 수 있는 것들이지만 실수요와 가수요는 분명 헷갈리는 부분이 있기 때문입니다.
실수요는 실제 필요에 의해 구매하는 수요로서 유효수요에 해당합니다. 여기까지는 문제없지만, 문제는 바로 가수요입니다. 가수요는 느낌에 유효수요가 아닐 것으로 생각하지만 가수요도 유효수요입니다. 가수요는 실제 필요에 의해 구매하는 수요가 아니라, 가격 상승에 대비하여 구매하는 수요이거나 시세차익을 얻고자 하는 수요입니다. 가를 가짜의 가로 생각하지 말고 가격의 가로 생각하도록 합시다.
그럼 지금까지 수요곡선과 수요량, 수요결정요인 변화, 수요의 특징과 분류 등 많은 것들을 살펴보았는데요. 어려운 부분은 없고 가장 기초가 되는 부분이기에 꼭 잡고 다음 파트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사실 공급 파트이지만 공급은 제외하도록 하겠습니다. 왜냐하면 공급은 수요의 반대라고 생각하면 되기 때문이죠. 그렇기 때문에 다음은 많은 분들이 어려워하는 탄력성에 대해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다들 열공하세요!
'부동산 > 공인중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학 개론] #09 부동산 경제론 (feat. 수요의 가격탄력성) (0) | 2021.05.30 |
---|---|
[부동산학 개론] #08 부동산 경제론 (feat. 초과수요, 초과공급, 균형의 이동과 결정) (0) | 2021.05.29 |
[부동산학 개론] #06 부동산 경제론 (feat. 수요의 개념, 유량, 저량 개념) (0) | 2021.05.27 |
[부동산학 개론] #05 부동산의 속성 (feat. 공간성, 위치성, 한계심도) (0) | 2021.05.26 |
[부동산학 개론] #04 부동산의 특성 (feat. 인문적 특성) (0) | 2021.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