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2주차 - 금융클리닉 매매일지

4월 2주차 거래내역
자산 상태 | 거래 일자 | 종목명 | 거래 금액 | 거래 단가 | 수익금 |
외화 매도 | 2025-04-07 | 엔화 | 1,016,489 | 1,002.01 | +16,495 |
주식 매수 | 2025-04-08 | 삼성전자 | 1,144,000 | 57,200 | |
외화 매도 | 2025-04-09 | 엔화 | 1,168,726 | 1,016.39 | +96,221 |
주식 매수 | 2025-04-10 | 삼성전자 | 813,000 | 54,200 | |
외화 매수 | 2025-04-10 | 외화매수 | 999,992 | 991.22 | |
외화 매도 | 2025-04-10 | 외화매도 | 1,007,366 | 998.53 | +7,374 |
◾ 엔화 트레이딩 중
◾ 삼성전자 매수
4월 2주차 수익 : 120,090원
누적 확정 수익 = 573,436원
[2025년 4월 1주차] 매매일지
자산 상태 | 거래 일자 | 종목명 | 거래 금액 | 거래 단가 | 수익금 |
외화 매수 | 2025-03-24 | 엔화 | 999,994 | 979.34 | |
주식 매수 | 2025-03-26 | 넷마블 | 1,016,250 | 40,650 | |
외화 매도 | 2025-04-03 | 엔화 | 1,012,104 | 991.20 | +12,110 |
외화 매수 | 2025-04-04 | 엔화 | 999,994 | 985.75 |
◾ 엔화 트레이딩 중
◾ 넷마블 매수
4월 1~2주차 수익 : 12,110원
누적 확정 수익 = 453,346원
[2025년 3월 4주차] 매매일지
자산 상태 | 거래 일자 | 종목명 | 거래 금액 | 거래 단가 | 수익금 |
주식 매도 | 2025-03-19 | 삼성전자 | 2,583,000 | 57,400 | +127,386 |
외화 매도 | 2025-03-20 | 엔화 | 1,004,856 | 983.10 | +4,856 |
◾ 엔화 트레이딩 중
◾ 삼성전자 매도
3월 3주차 수익 : 132,242원
누적 확정 수익 = 441,236원
[2025년 3월 3주차] 매매일지
자산 상태 | 거래 일자 | 종목명 | 거래 금액 | 거래 단가 | 수익금 |
외화 매도 | 2025-03-10 | 엔화 | 1,519,449 | 984.75 | +19,456 |
외화 매수 | 2025-03-11 | 엔화 | 999,993 | 986.08 | |
주식 매수 | 2025-03-13 | 삼성전자 | 790,500 | 52,700 | |
외화 매수 | 2025-03-13 | 엔화 | 1,000,000 | 978.35 |
◾ 엔화 트레이딩 중
◾ 삼성전자 매수
3월 3주차 수익 : 19,456원
누적 확정 수익 = 308,994원
[2025년 3월 2주차] 매매일지
자산 상태 거래 일자 종목명 거래 금액 거래 단가 수익금 주식 매수 2025-03-04 삼성전자 844,500 56,300 외화 매수 2025-03-05 엔화 1,499,992 972.14 주식 매도 2025-03-07 한전KPS 872,000 43,600 +12,442 주식 매수 2025-03-07 삼성전자 816,000 54,400
◾ 엔화 트레이딩 중
◾ 한전KPS 매도 / 삼성전자 매수
3월 2주차 수익 : 12,442원
누적 확정 수익 = 289,538원
[2025년 2월 5주차] 매매일지
자산 상태 | 거래 일자 | 종목명 | 거래 금액 | 거래 단가 | 수익금 |
외화 매도 | 2025-02-26 | 엔화 | 1,008,861 | 961.37 | +8,867 |
주식 매수 | 2025-02-27 | 한전KPS | 858,000 | 949.48 | |
외화 매도 | 2025-02-28 | 엔화 | 1,046,505 | 976.09 | +46,509 |
◾ 엔화 트레이딩 중
◾ 한전KPS 매수
2월 5주차 수익 : 55,376원
누적 확정 수익 = 277,096원
[2025년 2월 4주차] 매매일지
자산 상태 | 거래 일자 | 종목명 | 거래 금액 | 거래 단가 | 수익금 |
주식 매도 | 2025-02-17 | 삼성전자 | 999,999 | 56,300 | +29,114 |
외화 매도 | 2025-02-17 | 엔화 | 1,004,018 | 949.48 | +4,018 |
◾ 엔화 트레이딩 중
◾ 삼성전자 매도 완료
2월 4주차 수익 : 33,132원
누적 확정 수익 = 221,720원
[2025년 2월 3주차] 매매일지
자산 상태 | 거래 일자 | 종목명 | 거래 금액 | 거래 단가 | 수익금 |
외화 매수 | 2025-02-12 | 엔화 | 999,999 | ||
주식 매도 | 2025-02-13 | 삼성전자 | 1,674,000 | 55,800 | +58,999 |
주식 매수 | 2025-02-14 | 삼성전자 | 819,000 | 54,600 |
◾ 엔화 트레이딩 중
◾ 삼성전자 트레이딩 구간 올때까지 홀딩 포지션 유지
2월 3주차 수익 : 58,999원
누적 확정 수익 = 188,588원
[2025년 2월 2주차] 매매일지
자산 상태 | 거래 일자 | 종목명 | 거래 금액 | 거래 단가 | 수익금 |
외화 매도 | 2025-02-03 | 엔화 | 1,005,016 | 943.27 | +5,018 |
외화 매수 | 2025-02-04 | 엔화 | 999,994 | 938.31 | |
외화 매도 | 2025-02-05 | 엔화 | 1,005,834 | 943.79 | +5,840 |
주식 매수 | 2025-02-05 | 삼성전자 | 510,000 | 51,000 | |
외화 매수 | 2025-02-07 | 엔화 | 999,994 | 952.92 |
◾ 엔화 트레이딩 중
◾ 삼성전자 트레이딩 구간 올때까지 홀딩 포지션 유지
2월 2주차 수익 : 10,858원
누적 확정 수익 = 129,589원
[2025년 2월 1주차] 매매일지
자산 상태 | 거래 일자 | 종목명 | 거래 금액 | 거래 단가 | 수익금 |
외화 매도 | 2025-01-31 | 엔화 | 1,535,126 | 943.48 | +35,127 |
외화 매수 | 2025-01-31 | 엔화 | 999,998 | 938.56 |
◾ 엔화 트레이딩 중
◾ 삼성전자 52,100원 매수 대기 중 (10 ~ 20주)
1월 5주차 수익 : 35,127원
누적 수익 = 118,731원
[2025년 1월 4주차] 매매일지
자산 상태 | 거래 일자 | 종목명 | 거래 금액 | 거래 단가 | 수익금 |
외화 매수 | 2025-01-22 | 엔화 | 1,499,998 | 921.89 |
◾ 엔화 트레이딩 중
◾ 삼성전자 트레이딩 중
1월 4주차 수익 = 0원
누적 수익 = 83,604원
[2025년 1월 3주차] 매매일지
자산 상태 | 거래 일자 | 종목명 | 거래 금액 | 거래 단가 | 수익금 |
주식 매수 | 2025-01-14 | 삼성전자 | 829,500 | 55,300 | |
외화 매수 | 2025-01-15 | 엔화 | 1,499,999 | 924.59 | |
주식 매수 | 2025-01-16 | 삼성전자 | 272,500 | 54,500 | |
외화 매도 | 2025-01-16 | 엔화 | 1,510,477 | 931.03 | +10,478 |
RP 매도 | 2025-01-16 | RP | 3,001,610 | +1,610 |
◾ RP 만기 매도 진행 후 현금 보유
◾ 삼성전자 매수 진행 후 추가 매수
◾ 엔화 트레이딩 중
1월 3주차 수익 = 12,088원
누적 수익 = 83,604원
[2025년 1월 2주차] 매매일지
자산 상태 | 거래 일자 | 종목명 | 거래 금액 | 거래 단가 | 수익금 |
RP 매수 | 2025-01-02 | RP | 3,000,000 | - | |
외화 매수 | 2025-01-02 | 엔화 | 999,995 | 932.71 | |
주식 매수 | 2025-01-06 | 삼성전자 | 1,050,000 | 52,500 | |
외화 매수 | 2025-01-07 | 엔화 | 999,997 | 923.47 | |
주식 매도 | 2025-01-08 | 삼성전자 | 1,114,116 | 55,800 | +64,016 |
RP 매도 | 2025-01-09 | RP | 3,001,370 | - | +1,370 |
RP 매수 | 2025-01-09 | RP | 3,000,000 | - | |
주식 매수 | 2025-01-10 | 삼성전자 | 829,500 | 55,300 | |
외화 매도 | 2025-01-10 | 엔화 | 1,006,127 | 929.13 | +6,130 |
◾ RP 만기 매도 진행 후 재 진입
◾ 삼성전자 주식 수익매도 진행 후 재 진입
◾ 엔화 트레이딩 중
1월 2주차 수익 = 71,516원
누적 수익 = 71,516원
현재 포트폴리오
자산 | 현재 비중 | 종목명 | 거래 금액 | Max 비중 |
원화 | 45% | 원화 | 4,727,680 | 80% |
외화 | 28% | 엔화 | 2,966,820 | 80% |
주식 | 18% | 삼성전자 | 1,939,000 | 40% |
주식 | 9% | 넷마블 | 1,020,200 | 40% |
이번 주 대응 근거
삼성전자 및 넷마블 대응 전략
현재 자산규모 대비 주식(위험자산) 비중이 너무 높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시장상황이 좋다면 충분히 현금 보유량 줄이면서 주식 비중 높게 포지션 잡아도 괜찮지만, 아시다시피 현재 경제상황은 불확실성이 너무나도 커져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불확실성이 커져있을 때 주식(위험자산)의 비중이 높은 것은 정말 위험한 포트폴리오입니다.
비중 대비 마이너스 폭은 없고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현금 자산이 있지만 조금 더 안정적인 포지션을 갖기 위해 삼성전자 또는 넷마블 비중을 줄이거나 한 종목으로 운영하는 방안으로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일본 엔화 대응 전략
트럼프의 관세정책으로 불확실성이 대두되면서 엔화의 환율상승이 크게 일어났습니다.
엔화가 상승되는 이유는 정말 여러 가지입니다.
역시나 가장 큰 이유는 금리죠.
미달러와 일본엔화의 금리차가 줄어들고 있는 것이 현실이고 엔캐리트레이딩에 대한 우려 또한 높아지고 있습니다.
엔화가 갑자기 튀지 않게 일본 당국이 환율에 개입하겠지만 현재 같은 시국에서 엔화의 상승흐름은 자연스러운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금년도 들어 단기간 너무 큰 상승을 보였기 때문에 변동성 자체가 크다는 것은 인정하고 이제는 무조건 수익이다라는 생각은 버려야 할 것 같습니다.
앞으로는 미국의 금리정책과 경기 상황을 보면서 엔화의 대응도 달라져야 할 것입니다.
다만 이전에도 설명드렸다시피 현재 세계 경제 상황으로 보면 가장 매력적인 자산은 여전히 엔화이며, 앞으로도 트레이딩은 계속 진행할 예정입니다.

노션으로 정리하고 있는 일본 엔화 매매일지입니다.
이전 포스팅에도 설명했다시피, 1월 1일 최초 1,000만 원을 세팅할 때 일본엔화와 현금과 합쳐서 1,000만원을 세팅하였습니다.
기존에 있었던 환율이기에 정확한 환율은 작성할 수 없어, 1월 2일 최초매수했던 환율인 932.71원으로 맞췄습니다.
그리고 13차로 진행했던 엔화를 먼저 정리했어야 했는데 3차를 먼저 정리해 버렸네요..
다음 매도 타이밍 오면 13차, 4차 천천히 수익매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차주 대응 전략
포트폴리오 운용 전략
트럼프의 보편 및 상호관세로 전 세계 증시는 혼란을 겪었고, 중국을 제외한 90일간의 유예기간으로 증시는 회복한 듯 보였지만, 다시 떨어지고 있습니다.
시장에서 가장 무서운 것은 악재가 아니라 불확실성입니다.
현재 트럼프의 말 한마디로 시장이 너무나 혼란스럽습니다.
관세정책으로 인한 물가상승 걱정, 물가상승 걱정으로 인한 금리인하 기대감 둔화, 더군다나 경기침체 우려는 계속..
그나마 다행인 것은 소비자 물가 지수 및 생산자 물가지수가 잡혀가는 듯한 모습을 보이지만, 관세가 지속되면 분명히 오르는 것은 기정사실일 것입니다.
변동성이 클 때는 대박 날 수 있는 엄청난 기회가 될 수 있지만, 탕진될 수 있는 확률도 매우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무조건 안정적이고 보수적인 포지션, 잃지 않는 포지션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오버스러운 생각일지 모르겠지만 코프시가 1,700까지도 떨어질 수 있다는 생각하에 대응하려고 합니다.
만약 거기까지 떨어진다면, 아무리 보수적으로 포트폴리오를 운영하고 있어도 현재 1,000만 원 포트폴리오로는 본전 또는 약간의 보합 정도가 될 것 같습니다.
만약 정말 세계적인 경기침체가 온다면 운영자금 자체를 추가로 투입하여 크게 늘릴 것입니다.
투자는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대응하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아직 정해진 것은 없기 때문에 현재는 현재의 경제 상황에 맞게 보수적으로 운영하도록 하겠습니다.
💡더 많은 인사이트가 필요하신가요?
트럼프의 고관세 정책, 미국 경제를 살릴까? 망칠까?
트럼프 고관세 정책을 빨리 해결하고 싶은 이유최근 미국 경제에 대한 이야기가 전 세계 투자자들의 가장 큰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습니다.그 이유는 단 하나입니다. 바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밀
ivestmentworld.tistory.com
PMI와 ISM 제조업 지수 발표가 서로 다를 때 해석방법은?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와 ISM 제조업 구매자지수는 뭐가 다를까?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와 ISM 제조업 구매자지수(ISM 제조업지수)는 모두 제조업의 경기 상황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
ivestmentworld.tistory.com
자산을 곱셈으로 불리기 위해 1억을 마련하라 (feat. 경제위기가 기회다)
10년에 한 번 오는 기회를 준비하라한정수 작가님의 인터뷰를 보고 1억에서 10억까지 모으는 현실적인 방법에 대한 포스팅을 작성하려고 합니다.저는 아직 10억까지 모으지 못했지만, 많은 부분
ivestmentworld.tistory.com
'트레이딩 룸 > 매매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4월 1~2주차》 금융클리닉 매매일지 (0) | 2025.04.07 |
---|---|
《2025년 3월 4주차》 금융클리닉 매매일지 (0) | 2025.03.23 |
《2025년 3월 3주차》 금융클리닉 매매일지 (0) | 2025.03.16 |
《2025년 3월 2주차》 금융클리닉 매매일지 (1) | 2025.03.09 |
《2025년 2월 5주차》 매매일지 (3월 1주차) (0) | 2025.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