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경제기본

트럼프의 고관세 정책, 미국 경제를 살릴까? 망칠까?

반응형

트럼프 고관세 정책을 빨리 해결하고 싶은 이유

최근 미국 경제에 대한 이야기가 전 세계 투자자들의 가장 큰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단 하나입니다. 바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밀어붙이고 있는 ‘고관세 정책’ 때문입니다.

 

사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예전부터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라는 구호 아래, 미국 경제 살리기를 가장 중요한 정책 과제로 삼아왔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공개된 미국의 고관세 정책은 그 내용과 방식이 너무 파격적이고 강력해서 전 세계가 충격에 빠졌습니다.

 

그럼 오늘은 이 고관세 정책이 미국 경제와 세계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그리고 트럼프 행정부가 어떤 전략으로 미국 경제를 끌고 가려 하는지를 하나씩 확인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지금 미국 경제, 생각보다 복잡한 상황입니다

현재 미국 경제는 세계에서 가장 강한 경제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소비가 탄탄하고
  • 고용도 잘 유지되고
  • 물가 상승률도 여전히 높습니다

하지만, 이게 다 좋은 것만은 아닙니다.

지금 미국 경제가 겉보기에는 튼튼해 보이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세 가지 큰 문제가 동시에 터지고 있습니다.

첫 번째 문제: 고금리

미국은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을 잡기 위해 계속 금리를 높여 왔습니다.

그런데 금리가 높아지면 어떤 문제가 생길까요?

→ 소비자들은 돈 빌리기가 어려워지고, 기업들도 투자하기가 부담스러워집니다.

→ 결국 소비와 투자가 줄어들게 됩니다.

두 번째 문제: 강달러

금리가 높아지면 미국 달러화 가치가 강해집니다. 그러면?

→ 미국 제품은 비싸서 해외에 잘 안 팔리고

→ 수출이 줄어들게 됩니다.

세 번째 문제: 관세 폭탄

여기에 트럼프가 관세까지 때려버립니다.

특히 주요 수입국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면서 전 세계 교역 질서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관세가 높아지면 어떻게 될까요?

→ 해외에서 물건을 들여올 때 가격이 더 올라갑니다.

→ 결국 소비자 물가는 더 오르고, 기업들의 생산비도 더 늘어납니다.

 

고금리 + 강달러 + 고관세 → 미국 경제를 발목 잡는 3대 요인

미국 경제 성장률(GDP)은 다음 3가지로 결정됩니다.

  1. 소비
  2. 투자
  3. 수출

그런데 지금 미국 경제는

  • 고금리 때문에 소비가 발목 잡히고
  • 강달러 때문에 수출이 발목 잡히고
  • 고관세 때문에 투자가 발목 잡히는
  • 그야말로 '3중고' 상황에 놓여 있습니다.

이게 바로 지금 미국 경제의 가장 큰 약점입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빠르게 해결하고 싶은 이유

트럼프 행정부와 베센트 재무장관은 이 위기를 빠르게 벗어나고 싶어 합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 이런 고금리, 강달러, 관세 불확실성이 오래 가면

→ 미국 경제도 결국 흔들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들은 "빠르게 때리고 빠르게 끝낸다"는 전략을 쓰고 있습니다.

  • 처음엔 세게 밀어붙여서 협상력을 높이고
  • 나중엔 일부 완화해서 불확실성을 줄여주는 방식입니다.

이걸 경제 용어로 'Ellevate & Delevate 전략'이라고 부릅니다.

쉽게 말하면, 처음에 세게 올렸다가, 나중에 살짝 풀어주는 거죠.

 

미국이 국채 금리를 낮추려는 이유

미국 정부가 또 하나 꺼내든 카드가 있습니다.

바로 '국채 금리' 조정입니다.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가 낮아지면 어떤 효과가 있을까요?

효과  결과
기업과 정부의 이자 부담 줄어듦 투자 확대 가능
미국 달러 가치 약세 전환 수출에 도움

즉, 연준(Fed)이 기준금리를 내리기는 어렵지만, 장기 국채 금리를 내려서 경제에 숨통을 틔우려는 전략인 것입니다.

 

미국 인플레이션, 고착화되면 진짜 문제

여기서 미국 경제가 가장 걱정하는 게 있습니다.

바로 '인플레이션 고착화'입니다.

인플레이션 고착화란?

→ 물가 상승이 일시적이 아니라 계속 반복되는 상태

이게 되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요?

  • 연준이 금리를 낮추지 못합니다.
  • 소비가 더 위축됩니다.
  • 투자도 줄어듭니다.
  • 미국 경제가 본격적으로 침체로 갈 수 있습니다.

이번 고관세 조치가 자칫하면 이런 고착화 인플레이션을 불러올 수 있다는 점이 미국 정부의 큰 고민거리입니다.

 

미국 경제를 살릴 트럼프의 최종 카드? '드릴 베이비 드릴'

트럼프 전 대통령은 에너지 생산을 확대하는 전략도 준비하고 있습니다.

바로 '드릴 베이비 드릴(Drill Baby Drill)' 전략입니다.

→ 미국 내 원유·가스 생산을 확 늘려서

→ 에너지 가격을 낮추고

→ 물가 상승 압력을 낮추겠다는 전략입니다.

이게 성공하면

  • 물가는 안정되고
  • 기업 비용은 줄어들고
  • 재정 수입은 늘어나는
  • 일석삼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일본 경제 이야기: 엔화 강세가 주는 경고

여기서 잠깐 일본 얘기도 해야 합니다.

일본은 오랫동안 엔화 약세 기조가 유지됐는데, 최근에는 상황이 바뀌고 있습니다.

→ 일본도 물가가 4%씩 올라가면서

→ 디플레이션(물가 하락)에 익숙했던 경제가 힘들어지고 있습니다.

→ 그래서 일본은행(BOJ)이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 이러면 엔화 강세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 엔화 강세가 너무 빠르게 진행되면 일본 경제도 못 버틸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일본은 아주 천천히, 질서 있게 엔화 강세를 유도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N캐리 트레이드 청산이란? 세계 금융시장에도 파장

또 하나 주목할 부분은 '엔캐리 트레이드(N-Carry Trade)'입니다.

엔캐리 트레이드는

  • 일본처럼 금리가 낮은 나라에서 돈을 빌려서
  • 미국처럼 금리가 높은 나라에 투자하는 방식입니다.

그런데 일본이 금리를 올리고, 미국은 금리를 내리면?

→ 엔화가 강세가 됩니다.

→ 엔화 약세를 믿고 투자했던 자금들이 급하게 빠져나옵니다.

→ 글로벌 금융시장이 흔들릴 수 있습니다.

작년 8월에도 이런 일이 발생해 전 세계 금융시장이 크게 출렁였습니다.

 

앞으로 투자자들이 꼭 알아야 할 3가지 포인트

1. 미국 경제, 지금은 강하지만 미래는 불확실

  • 고금리, 강달러, 관세 3중고가 계속되면 미국도 힘들어진다.
  • 그래서 빠른 해결을 원하고 있다.

2. 인플레이션 고착화 리스크

  • 관세로 물가가 자극되면, 인플레 고착화 우려
  • 연준 금리 인하 시기와 속도는 생각보다 느릴 수 있음

3. 일본 경제 & 엔화 강세 주의

  • 일본의 금리 정책과 엔화 강세 전환 여부는
  • 한국 수출 기업, 글로벌 금융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

 

 

현재 트럼프 전 대통령과 미국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고관세 정책은 단순히 "무역 전쟁" 그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미국 경제를 살리기 위한 승부수이기도 하지만, 자칫 잘못하면 미국 스스로의 경제 체력도 약화시킬 수 있는 양날의 검이기도 합니다.

앞으로 글로벌 경제를 바라볼 때 반드시 체크해야 할 키워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 미국 고금리 지속 여부
  • 미국 고관세 정책의 속도와 강도
  • 미국과 일본 금리차 축소 → 엔화 강세 전환
  • 글로벌 무역 질서 변화

이 모든 변화들이 향후 글로벌 주식시장, 환율, 금리, 그리고 여러분의 투자에 직간접적으로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앞으로의 시장 변화를 잘 체크하면서, 신중하고 현명한 투자 전략을 세우시기 바랍니다.

 

 

💡더 많은 인사이트가 필요하신가요?

 

해방의 날이 아닌 폭망의 날 (feat. 누구를 위한 관세인가..?!)

미국의 관세전쟁이 시작되었다!2025년 4월 2일, 한국 시간으로는 4월 3일 새벽, 트럼프 전 대통령이 마침내 '상호 관세'의 실체를 공개했습니다.이미 수개월 전부터 예고되었던 이번 관세 정책은

ivestmentworld.tistory.com

 

 

 

금리, 환율, 국채금리의 흐름 속에서 지금 가장 큰 그림을 그리는 주체는 누구일까요?

“호랑이 없는 금융시장, 여우들이 움직인다!”금융시장은 언제나 ‘큰손’들이 움직이는 무대처럼 보입니다.  연준, 각국 중앙은행, 대형 시중은행 같은 존재들은 마치 굴속의 

ivestmentworld.tistory.com

 

 

 

반도체 산업의 미래 – AI,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성장과 투자 기회

반도체 산업은 현대 경제의 심장과 같습니다. ✅ 스마트폰, 자동차, 데이터센터, AI, 클라우드까지 반도체 없이는 작동하지 않는 시대✅ AI, 5G, 자율주행, IoT(사물인터넷) 등의 발전으로 반도체

ivestmentworld.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