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와 ISM 제조업 구매자지수는 뭐가 다를까?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와 ISM 제조업 구매자지수(ISM 제조업지수)는 모두 제조업의 경기 상황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두 지표는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지만, 간혹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발표될 때가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투자자나 경제 분석가가 혼란스러워할 수 있는데, 두 지표의 차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올바르게 해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와 ISM 제조업지수의 방향이 다르게 발표됐을 때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 간단하게 살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란?
구매관리자지수(PMI)의 의미와 활용법
구매관리자지수(Purchasing Managers' Index, PMI)는 기업에서 물건을 구매하는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경기지표입니다.
주로 제조업 경기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하며, 기준점은 50입니다.
- 50을 초과: 제조업 경기가 확장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 50 미만: 제조업 경기가 위축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PMI가 52라면 제조업 경기가 활발해지고 있는 것이고, 48이라면 경기가 나빠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제조업 PMI 구성 항목
제조업 PMI는 크게 5가지 항목으로 구성됩니다.
- 신규 주문 (New Orders)
- 생산 (Production)
- 고용 (Employment)
- 공급업체 배송 시간 (Supplier Deliveries)
- 재고 (Inventories)
이 항목들을 종합해 지수가 산출됩니다.
ISM 제조업지수(ISM Manufacturing Index)란?
ISM 제조업지수의 의미와 활용법
ISM 제조업지수는 미국 공급관리협회(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 ISM)가 발표하는 미국 제조업의 경기지표입니다.
이 역시 PMI와 비슷하게 기준점 50을 기준으로 경기를 평가합니다.
- 50 이상: 제조업 경기가 좋아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 50 미만: 제조업 경기가 나빠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ISM 제조업지수가 55라면 제조업 경기가 좋은 상태이며, 47이면 제조업 경기가 나쁜 상태입니다.
ISM 제조업지수의 구성 항목
ISM 제조업지수도 다음과 같은 주요 항목으로 구성됩니다.
- 신규 주문(New Orders)
- 생산(Production)
- 고용(Employment)
- 재고(Inventories)
- 공급업체 배송 시간(Supplier Deliveries)
구성 항목이 PMI와 유사하지만, 조사 대상 기업과 산출 방식에서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제조업 PMI와 ISM 제조업지수의 차이점
제조업 PMI와 ISM 제조업지수는 유사하지만, 다음과 같은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구분 | 제조업 PMI | ISM 제조업지수 |
조사기관 | S&P 글로벌(구 마킷, Markit) | 미국 공급관리협회(ISM) |
조사대상 | 중소기업 비중이 높음 | 대기업 비중이 높음 |
조사방식 | 상대적으로 많은 기업(수백 개 이상)을 조사 | 비교적 소수(약 300개)의 기업을 조사 |
발표지역 | 전 세계 주요 국가별 발표 | 미국 내 제조업 중심 발표 |
즉, 조사 대상과 발표 기관이 다르기 때문에 지표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두 지표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
제조업 PMI와 ISM 제조업지수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발표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이유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1. 조사대상의 차이(중소기업 vs 대기업)
ISM 제조업지수는 미국 내 대기업 중심으로 조사를 진행합니다.
따라서 미국의 주요 대기업들이 호황을 누리고 있으면 ISM 지수는 상승할 가능성이 큽니다.
반면 제조업 PMI는 중소기업까지 폭넓게 조사하기 때문에, 대기업은 좋지만 중소기업의 상황이 좋지 않을 경우 PMI는 하락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시로 쉽게 설명하면,
삼성이나 현대차처럼 큰 회사는 경기가 좋은데, 작은 협력업체나 중소기업들이 어려워서 경기가 좋지 않은 상황이라면, ISM은 상승하고 PMI는 하락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 것입니다.
2. 지역적 특성과 글로벌 경기의 영향
제조업 PMI는 글로벌 시장의 영향을 더 많이 받습니다.
글로벌 공급망 문제, 유럽이나 중국 경제 상황, 무역분쟁 등이 PMI에 더 민감하게 반영될 수 있습니다.
반면, ISM 제조업지수는 미국 내 제조업 중심으로 조사하기 때문에 미국 내의 특수한 경제 환경에 영향을 더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글로벌 경기가 나빠서 PMI는 하락했는데, 미국 내 내수 소비가 강력하여 미국 중심의 ISM 제조업지수가 상승하는 상황이 있을 수 있습니다.
3. 조사 시점의 차이
두 지표는 조사 시점이 약간 다르기 때문에 특정 시점의 경기 변동을 반영하는 속도에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즉, 한 지표는 최근의 긍정적인 변화를 반영하고 다른 지표는 과거의 부정적인 영향을 더 반영할 수 있습니다.
두 지표가 다르게 나왔을 때, 올바르게 해석하는 법
두 지표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해석하는 것이 좋습니다.
1. 세부 구성 항목 분석하기
지수의 종합점수만 보지 말고, 세부 구성 항목을 자세히 살펴봐야 합니다.
예를 들어 ISM 제조업지수는 높게 나왔지만 신규 주문은 낮다면, 앞으로 경기가 나빠질 가능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반대로 PMI가 낮지만 신규 주문이 올라가는 추세라면, 향후 경기가 좋아질 가능성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2. 글로벌 경기와 미국 내수 경기 구분하기
PMI가 글로벌 경기와 밀접히 연결되었으므로 PMI 하락은 글로벌 경기가 좋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고, ISM 제조업지수가 상승한다면 미국 내 경기가 글로벌 경기와 달리 좋은 상태라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이럴 땐, 글로벌 시장 투자에 주의하고 미국 내수 중심의 기업에 주목하는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3. 시장 기대치와의 차이 확인하기
각 지표가 시장 기대치와 비교해 높게 나왔는지, 낮게 나왔는지도 중요합니다.
- 예를 들어 ISM 제조업지수가 시장 기대보다 더 높게 발표됐는데, PMI가 낮게 나왔다면 미국 경기가 시장 예상보다 좋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투자 전략에 적용하는 방법
지표가 혼란스러울 땐 다음 전략을 추천합니다.
ISM 제조업지수 상승 & PMI 하락
→ 글로벌 무역·수출 중심 기업은 경계 필요
→ 미국 내수 소비 중심 기업(내수주) 투자 유리
ISM 제조업지수 하락 & PMI 상승
→ 미국 내수 중심 기업은 다소 경계
→ 미국 외 글로벌 수출 기업이나 글로벌 경기에 민감한 자산(원자재 등)에 관심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와 ISM 제조업지수가 다르게 발표될 때는 다음 사항을 반드시 기억하세요.
- PMI와 ISM의 조사 대상과 발표기관 차이로 서로 다를 수 있다.
- 세부 항목 분석이 필수이다(특히 신규 주문 항목).
- 글로벌 경기와 미국 내수 경기의 차이점을 확인한다.
- 시장 기대치와 실제 발표된 수치의 차이를 꼭 확인한다.
- 혼란스러울 땐 각 지표의 특성을 활용해 투자 전략을 세운다.
이러한 방법으로 두 지표의 방향 차이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더 많은 인사이트가 필요하신가요?
강달러 vs 약달러 (feat. 환율이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주식시장과 경제 뉴스를 보다 보면 "달러 강세", "달러 약세"라는 표현을 자주 접하게 됩니다. ✅ 강달러(Strong Dollar) – 달러 가치가 상승하는 상황✅ 약달러(Weak Dollar) – 달러 가치가 하락하는
ivestmentworld.tistory.com
트럼프의 관세 폭탄과 글로벌 경제 변화 (feat. 상호관세)
📢 트럼프의 관세 정책: 단순한 미치광이 전략이 아니다도널드 트럼프의 대표적인 경제 정책 중 하나인 '관세 폭탄'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그는 집권 1기였던 2018년에도 철강과 알루미늄에
ivestmentworld.tistory.com
관세 공포’에 얼어붙은 기업 투자… 한국 경제 성장률 1.5%도 무너질까?
'관세 공포'에 납작 엎드린 기업…설비투자 두자릿수 급감'관세 공포'에 납작 엎드린 기업…설비투자 두자릿수 급감, 소비절벽 이어 투자절벽 성장률 1.5%도 무너지나 1월 생산·소비·투자 '휘청'
ivestmentworld.tistory.com
'경제공부 > 경제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등 없는 하락장.. 드디어 경기침체가 오는 것인가?! (0) | 2025.04.04 |
---|---|
트럼프의 보편관세는 자폭관세?! (feat. 보편관세의 진짜 수혜자는?!) (1) | 2025.04.03 |
달러가 오르고 있는 현재, 어떻게 해야할까? (1) | 2025.04.01 |
금리, 환율, 국채금리의 흐름 속에서 지금 가장 큰 그림을 그리는 주체는 누구일까요? (1) | 2025.03.28 |
홈플러스가 망한다? (feat. 내 상품권은?!) (0) | 2025.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