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월 4주차 포트폴리오
자산 상태 | 거래 일자 | 종목명 | 거래 금액 | 거래 단가 | 수익금 |
외화 매수 | 2025-01-22 | 엔화 | 1,499,998 | 921.89 |
◾ 엔화 트레이딩 중
◾ 삼성전자 트레이딩 중
1월 4주차 수익 수익 = 0원
누적 수익 = 83,604원
[2025년 1월 3주차] 매매일지
자산 상태 | 거래 일자 | 종목명 | 거래 금액 | 거래 단가 | 수익금 |
주식 매수 | 2025-01-14 | 삼성전자 | 829,500 | 55,300 | |
외화 매수 | 2025-01-15 | 엔화 | 1,499,999 | 924.59 | |
주식 매수 | 2025-01-16 | 삼성전자 | 272,500 | 54,500 | |
외화 매도 | 2025-01-16 | 엔화 | 1,510,477 | 931.03 | +10,478 |
RP 매도 | 2025-01-16 | RP | 3,001,610 | +1,610 |
◾ RP 만기 매도 진행 후 현금 보유
◾ 삼성전자 매수 진행 후 추가 매수
◾ 엔화 트레이딩 중
1월 3주차 수익 수익 = 12,088원
누적 수익 = 83,604원
[2025년 1월 2주차] 매매일지
자산 상태 | 거래 일자 | 종목명 | 거래 금액 | 거래 단가 | 수익금 |
RP 매수 | 2025-01-02 | RP | 3,000,000 | - | |
외화 매수 | 2025-01-02 | 엔화 | 999,995 | 932.71 | |
주식 매수 | 2025-01-06 | 삼성전자 | 1,050,000 | 52,500 | |
외화 매수 | 2025-01-07 | 엔화 | 999,997 | 923.47 | |
주식 매도 | 2025-01-08 | 삼성전자 | 1,114,116 | 55,800 | +64,016 |
RP 매도 | 2025-01-09 | RP | 3,001,370 | - | +1,370 |
RP 매수 | 2025-01-09 | RP | 3,000,000 | - | |
주식 매수 | 2025-01-10 | 삼성전자 | 829,500 | 55,300 | |
외화 매도 | 2025-01-10 | 엔화 | 1,006,127 | 929.13 | +6,130 |
◾ RP 만기 매도 진행 후 재 진입
◾ 삼성전자 주식 수익매도 진행 후 재 진입
◾ 엔화 트레이딩 중
1월 2주차 수익 수익 = 71,516원
누적 수익 = 71,516원
📈 매수한 자산
현재 관심을 두고 있는 종목으로는 소형모듈원자로(SMR) 관련주인 두산에너빌리티, 한전KPS와 조선업 관련 ETF인 TIGER 조선 TOP 10 ETF 등이 있습니다. 이들 종목은 글로벌 트렌드와 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바탕으로 시장에서 긍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단기적으로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다만, 증시 전반의 분위기가 아직 완전히 회복된 상황은 아니며, 이는 위험자산으로 분류되는 주식시장 내 투자 전략에 신중함을 요구합니다. 현재와 같은 시장에서는 추격매수(고점 매수)는 피하고, 가격 조정 시 분할 매수를 통해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전략을 유지하고자 합니다.
관심으로 보고 있는 종목들이 단기 급등세를 보이고 있지만, 조정 국면이 올 경우 분할 매수를 통해 가격 메리트를 확보할 계획입니다. 이는 과도한 리스크를 회피하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기 위함입니다.
하지만 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매수 적정 시점이 오지 않는다면, 추가 매수 대신 관망을 선택할 것입니다. 이는 단기적인 과열 가능성을 배제하고, 냉철한 투자 결정을 위한 원칙을 준수하는 접근입니다.
📉 매도한 자산
아쉽게도 1월 4주차에는 매도한 종목이 없었습니다. 일부 관심 종목에서 매수 타이밍을 잡으려 했으나, 적정 가격에 도달하지 않아 거래를 성사시키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성급하게 매매에 나서기보다는 시장 상황에 맞춘 신중한 접근을 유지할 것입니다.
💡 앞으로 어떻게 투자할 것인가?
현재의 시장 상황은 성장 가능성이 높은 섹터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경제 및 증시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존재하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매수 타이밍에 대한 철저한 계획과 리스크 관리를 우선시하며, 감정적 투자보다는 냉철한 분석과 판단을 바탕으로 대응할 방침입니다.
또한 다음 주 예정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발표와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 방침은 시장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은 이미 시장의 예상 범주에 있었기 때문에 큰 변동은 없었으나, 연준의 금리 정책 발표는 상황을 크게 달라지게 할 수 있습니다.
시나리오별 시장 영향 분석
- 금리 동결
- 금리 동결 시, 시장의 예상과 일치하기 때문에 큰 충격은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한 연준의 코멘트가 중요할 것입니다.
- 금리 동결 시, 시장의 예상과 일치하기 때문에 큰 충격은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한 연준의 코멘트가 중요할 것입니다.
- 금리 인상
- 만약 금리가 추가로 인상된다면, 이는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연준의 주요 우려 사항임을 의미하며, 시장에 강한 긴축 메시지를 전달할 것입니다. 이는 주식시장과 환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금리 인하
- 금리 인하가 이루어진다면 이는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할 수 있지만, 동시에 엔 캐리 트레이딩 청산과 같은 구조적 위험을 유발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특히 엔화 강세와 환율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 금리 인하가 이루어진다면 이는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할 수 있지만, 동시에 엔 캐리 트레이딩 청산과 같은 구조적 위험을 유발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특히 엔화 강세와 환율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엔 캐리 트레이딩 청산의 리스크
엔 캐리 트레이딩 청산은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과 미국 금리 인하가 동시에 발생할 경우 현실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 다음과 같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주식시장: 투자자금 이탈로 인해 변동성 확대.
- 환율 시장: 엔화 강세 및 달러 약세로 주요 통화의 균형이 깨질 위험.
- 채권 시장: 금리 상승 압력으로 채권 가격 하락 가능성.
- 대응 전략: 유동적인 태도로 시장 대응
금리 정책의 결과를 미리 예단하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소프트한 예상과 유연한 대응 전략이 필수적입니다. 결과가 어떻든, 시장의 흐름에 유동적으로 대응하는 자세를 유지하며, 철저한 준비와 냉철한 판단으로 다가올 시장 변화에 대처할 것입니다. 다들 모두 즐거운 연휴 보내시고,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바랍니다!
'트레이딩 룸 > 매매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2월 2주차》 매매일지 (0) | 2025.02.09 |
---|---|
《2025년 1월 5주차》 매매일지 (1) | 2025.02.01 |
[2025년 1월 3주차] 매매일지 (1) | 2025.01.18 |
[2025년 1월 2주차] 금융진료사 매매일지 (0) | 2025.01.11 |
[2025년 1월 1주차] 1000만원으로 시작하는 매매일지 (0) | 2025.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