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부터 새롭게 시작한 포트폴리오 매매일지를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 지금까지 어떤 트레이딩을 했는지 확인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2025년 1월 2주차 포트폴리오
자산 상태 | 거래 일자 | 종목명 | 거래 금액 | 거래 단가 | 수익금 |
RP 매수 | 2025-01-02 | RP | 3,000,000 | - | |
외화 매수 | 2025-01-02 | 엔화 | 999,995 | 932.71 | |
주식 매수 | 2025-01-06 | 삼성전자 | 1,050,000 | 52,500 | |
외화 매수 | 2025-01-07 | 엔화 | 999,997 | 923.47 | |
주식 매도 | 2025-01-08 | 삼성전자 | 1,114,116 | 55,800 | +64,016 |
RP 매도 | 2025-01-09 | RP | 3,001,370 | - | +1,370 |
RP 매수 | 2025-01-09 | RP | 3,000,000 | - | |
주식 매수 | 2025-01-10 | 삼성전자 | 829,500 | 55,300 | |
외화 매도 | 2025-01-10 | 엔화 | 1,006,127 | 929.13 | +6,130 |
◾ RP 만기 매도 진행 후 재 진입
◾ 삼성전자 주식 수익매도 진행 후 재 진입
◾ 엔화 트레이딩 중
1월 2주차 수익 수익 = 71,516원
누적 수익 = 71,516원
만기 도래한 RP 매도 후 재 매수 진행
개인적인 투자스타일 상 보수적 투자금 운용과 타이밍을 고수하기 때문에 놀고 있는 현금보유량이 꽤나 많습니다. 이 문제를 조금이라도 덜어내고자 RP를 매수하였고 일주일에 약 1,000원이라는 수익금을 벌게 되었습니다. 이자가 너무 작기 때문에 사실 다른 종목을 매수하는 것이 더 좋겠지만, 이번에도 특별히 투자하고 싶은 종목을 찾지 못하여 RP재매수를 진행하였습니다. 다음주에는 채권 또는 엔화 트레이딩 금액을 높여 투자해 볼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매도 후 재매수 진행
총 투자금이 1,000만원이고 위험자산에는 30% 정도의 비중으로 투자할 생각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주식에 여러 종목을 매수할 여력이 없고, 당분간 삼성전자 한 종목으로만 매수할 생각입니다. 비중의 10%인 100만원으로 최초 매수로 트레이딩 진행할 예정입니다. 52,000원~58,000원 부근 총 200만원으로 기술적 지지, 저항 부근잡고 트레이딩 할 예정입니다.
비중을 키우지 않고 트레이딩을 하는 이유는 현재 경제 상황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경기 상황과 반도체 산업의 호황이 예상되는 국면이었다면 트레이딩 보다는 큰 비중의 홀딩 전략으로 대응했겠지만, 지금은 위험자산의 비중을 낮춰서 운영하려고 합니다.
트레이딩 매매 진행 중이기에 먼저 1차 수익매도 진행 후 재매수 진행하였습니다. 같은 종목에 같은 가격인 50,000원을 매수하더라도 싸게 매수하는 5만원과 비싸게 매수하는 5만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기술적은 부근이라고 생각하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지지구간의 5만원 부근 매수는 저렴하게 매수할 수 있는 확률이 높게 되고, 저항 부근의 5만원 부근 매수는 비싸게 매수할 수 있는 확률적 구간이 됩니다.
앞으로 삼성전자로 트레이딩 하면서 목표가는 약 78,000원 부근까지 트레이딩 및 홀딩 포지션 전략 취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매력적으로 보이는 종목이 있습니다.
단기적으로 매력적으로 생각하는 종목이 있습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 때문에 각 국의 제조업체는 비상이 걸려 있다고 생각합니다.
내가 만약 제조업 사장이라면?
- 앞으로의 관세가 높아질 수 있는 확률이 높다?
- 그리고 관세를 올릴 날이 5월달 정도로 예상하고 있다?
- 그럼 5월이 되기 전에 최대한 많이 미국에 수출하자!
라는 생각을 자연스럽게 가지게 됩니다. 그럼 수요가 급증하게 되겠지요? 하지만 문제는 적재를 할 수 있는 배를 만드는데에는 엄청난 시간과 비용이 듭니다. 즉, 관세 인상 정책을 취하면, 정책 시행 전까지 가능한 한 많은 양을 수출하려고 하므로 일시적으로 드라이 벌크선의 수요가 늘어 나게 됩니다. 하지만 드라이 벌크선에 대한 수요가 높아져도 공급을 늘릴 수 없으므로 운임비가 오르게 됩니다. 그럼 투자에는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요?
이러한 발틱운임지수를 추종하는 ETF 가 바로 건화물 브레이크 웨이브 ETF 입니다. 관세정책의 이슈와 소문이 난무하고 있는 지금 매력적인 투자처라고 생각되며, 불확실성 해소나 정책이 시행될 경우 투자에 유의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참고로 저는 투자하지 않습니다. 저의 투자 원칙과 어긋납니다. 미국 달러의 환율이 너무 높기 때문에 어느정도 조정이 이뤄 날때까지 달러를 취하지 않기 때문에 매수할 수 없습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은 생각해보시고 모든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는점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트레이딩 룸 > 매매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1월 4주차] 매매일지 (0) | 2025.01.25 |
---|---|
[2025년 1월 3주차] 매매일지 (1) | 2025.01.18 |
[2025년 1월 1주차] 1000만원으로 시작하는 매매일지 (0) | 2025.01.05 |
[2024년 8월 3주차] JPY/KRW 매매일지 (0) | 2024.08.18 |
[2024-08-08 / 2024-08-09] JPY/KRW 매매일지 (0) | 2024.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