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8년까지 신규 원전 2기·SMR 1기 짓는다…11차 전기본 확정
2038년까지 신규 원전 2기·SMR 1기 짓는다…11차 전기본 확정, 2038년 재생에너지 비중 33%로…재생E 무탄소는 전원은 70%
www.hankyung.com
정부가 2038년까지 대형 원자력발전소 2기와 소형모듈원전(SMR) 1기 건설을 확정했습니다. 또한, 연평균 7GW 규모의 재생에너지 보급을 추진하며, 무탄소 에너지원 비중을 70%까지 높이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습니다. 이는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의 주요 내용으로, 산업통상자원부가 21일 공식 발표했습니다.
📌 11차 전기본의 핵심 내용
✅ 2038년까지 전력 수요 전망
정부는 2038년까지 전력 수요를 129.3GW로 예측했습니다. 경제 성장과 AI·반도체 산업 발전, 기후 변화 등의 요인을 고려한 결과, 기본적인 수요는 145.6GW로 분석됐습니다. 하지만, 에너지 효율 개선과 수요관리 정책을 통해 16.3GW를 절감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총 157.8GW 규모의 발전설비가 필요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발전소의 예상보다 빠른 폐쇄, 고장 등 불확실성을 대비한 조치입니다.
✅ 신규 원전 및 발전설비 계획
정부는 2038년까지 총 131.2GW 규모의 발전설비를 확정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노후 석탄발전소 폐쇄 및 LNG·무탄소 에너지로의 전환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존 원전 건설 유지: 현재 건설 중인 새울 3·4호기, 신한울 3·4호기 포함
🔹 노후 석탄 발전소 폐쇄: 28기는 LNG 발전소로 전환, 추가 12기는 수소·암모니아 기반 무탄소 발전소로 변경
🔹 신규 원전 건설: 2037~2038년까지 대형 원전 2기(2.8GW)와 소형모듈원전(SMR) 1기(0.7GW) 추가
🔹 재생에너지 확대: 2038년까지 정격 용량 126.9GW 확보, 실효 용량 16.3GW 예상
✅ 재생에너지 및 무탄소 발전 비중 목표
정부는 2038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을 33%까지 확대하고, 원전을 포함한 무탄소 전원 비중을 70.7%로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태양광·풍력 발전 확대, 에너지저장장치(ESS) 확충, 무탄소 에너지원 개발을 적극 추진할 예정입니다.
📢 추가 발전설비 및 구체적 실행 계획
정부는 총 10.3GW의 발전량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를 충당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연도 | 추가 발전원 | 설명 |
2031~2032년 | 열병합 발전(2.2GW) | LNG 발전소 확충 (입찰을 통해 사업자 선정) |
2035~2036년 | SMR (0.7GW) | 기술 개발 및 표준화 후 상용화 |
2035~2036년 | 무탄소 발전(1.5GW) | 수소 발전소, 재생에너지, SMR 경쟁 입찰 |
2037~2038년 | 대형 원전 (2.8GW) | 신규 원전 2기 건설 |
이외에도 유보된 3.1GW에 대해서는 제12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추가 검토할 예정입니다.
📢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 가능
정부는 이번 전기본 계획을 통해 2030년까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무탄소 발전 비중이 53%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2038년 예상 발전 비율
- 재생에너지 + 신재생에너지: 33%
- 무탄소 전원(원전 포함): 70.7%
📢 향후 추진 과제 및 전망
정부는 11차 전기본을 기반으로 설비 투자 및 에너지저장장치(ESS) 확보를 추진합니다. 또한, LNG 용량 시장 본입찰, 신규 ESS 사업자 선정, 신규 원전 부지 선정, 무탄소 발전 입찰 시장 개설 등을 차례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 앞으로의 주요 일정
- 2025년: 11차 장기 송·변전 설비계획 수립 (한전)
- 2026년: 제16차 장기 천연가스 수급계획 마련
- 2030년대 초반: SMR 건설 허가 및 착공
💡 안정적 전력 공급과 탄소 중립 목표를 동시에
이번 11차 전기본은 에너지 안보와 탄소중립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신규 원전 및 SMR 도입, 재생에너지 확대, LNG 발전 전환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안정적인 전력 공급과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실현하는 것이 정부의 목표입니다.
📢 2038년까지의 주요 변화
✅ 신규 원전 2기 및 SMR 1기 건설
✅ 재생에너지 비중 33% 확대
✅ 무탄소 에너지 비중 70% 이상 달성
✅ 노후 석탄발전소 단계적 폐쇄 및 LNG·무탄소 발전으로 전환
앞으로도 정부는 기술 발전과 시장 변화를 고려하며 전력 공급 계획을 조정할 방침입니다. 이러한 변화가 전기 요금과 에너지 산업에 미치는 영향도 지속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습니다.
'경제공부 > 경제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환율로 절반 이상 중소기업 피해봤다 (0) | 2025.02.20 |
---|---|
[버핏 vs 글로벌 펀드매니저] 현금 최대·최저 보유, 누가 맞을까? (2) | 2025.02.19 |
범부처 '핵심광물 투자협의회' 출범과 공급망 안정화기금 조성 분석 (0) | 2025.02.18 |
금도 아닌데 가격 급등하고 있는 이 원자재! (0) | 2025.02.17 |
우크라이나 재건주는 어떤것들이 있을까? (0)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