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핏은 현금 늘리고, 펀드매니저들은 15년 만에 현금 최저
버핏은 현금 늘리고, 펀드매니저들은 15년 만에 현금 최저, 글로벌 펀드매니저 현금보유 3.5%…2010년이후 최저 매도신호 발생에도 매니저들 "올해 글로벌 주식 수익 최고" 예상 468조원 가진 버크
www.hankyung.com
최근 금융 시장에서 대조적인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워렌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는 대규모 현금을 보유하며 신중한 투자 태도를 보이고 있는 반면, 글로벌 펀드 매니저들은 15년 만에 가장 낮은 현금 보유 비중을 기록하며 강한 매수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반된 투자 전략 속에서 시장이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펀드매니저들의 현금 비중, 2010년 이후 최저 수준
뱅크 오브 아메리카(BoA)가 발표한 월간 글로벌 펀드 매니저 설문 조사에 따르면, 2월 글로벌 펀드 매니저들의 평균 현금 보유 비중은 3.5%로 떨어졌습니다. 이는 201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BoA의 기준에 따르면, 펀드 매니저들의 현금 보유 비중이 4% 미만일 경우 매도 신호, 5% 이상일 경우 매수 신호가 발생합니다. 즉, 현재의 낮은 현금 보유율은 시장이 과열되었음을 의미하며, 조정이 발생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이번 설문조사는 총 4,820억 달러를 운용하는 205명의 자산 관리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응답자의 34%가 올해 글로벌 주식이 가장 높은 수익을 낼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반면, 11%는 채권 비중을 축소해야 한다고 응답했습니다.
📉 미국 주식 과대평가 논란
BoA의 수석 전략가 마이클 하트넷은 현재 투자자들이 “주식은 매수, 나머지는 매도” 상태라고 분석했습니다. 이는 시장이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와 강한 경제 성장에 힘입어 강세를 보이고 있음을 반영합니다.
그러나 이번 조사에서 89%의 응답자가 미국 주식이 과대평가되었다고 답했으며, 이는 2001년 4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이에 따라 일부 투자자들은 현재 시장의 상승세가 지속될 수 있을지에 대한 의구심을 갖고 있습니다.
📈 워렌 버핏, 사상 최대 규모 현금 보유
한편, 전설적인 투자자인 워렌 버핏의 전략은 완전히 다릅니다.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된 공시 자료에 따르면, 버크셔 해서웨이는 2023년 4분기에 약 60억 달러 상당의 주식을 추가 매도했습니다.
이로 인해 버크셔의 현금 보유량은 기존 3,250억 달러(약 468조 원)에서 더욱 증가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버핏이 현재 주식 시장을 고평가된 상태로 보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버핏은 기술주 중심의 2023년 강세장을 놓쳤음에도 불구하고, 현금을 대거 축적하며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그의 보수적인 접근이 옳았는지, 아니면 글로벌 펀드 매니저들의 공격적인 매수 전략이 더 높은 수익을 가져다줄 것인지가 시장의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 현재 투자자들의 자산 배분 전략
2월 글로벌 펀드 매니저들은 유로존 주식, 채권, 방어적 섹터의 비중을 늘리는 한편, 기술주 및 은행주에 대한 비중을 축소했습니다.
또한, 투자자들이 예상하는 소프트 랜딩(경기 침체 없이 연착륙할 가능성) 확률은 50%에서 52%로 증가했으며, 하드 랜딩(심각한 경기 침체)의 가능성은 여전히 6%로 낮게 평가되고 있습니다.
가장 큰 하락 요인은 ‘세계 무역 전쟁’
펀드 매니저들이 꼽은 위험 자산에 대한 가장 큰 하락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세계 무역 전쟁
- 채권 수익률의 급격한 상승
- 연준(Fed)의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
특히, 무역 전쟁이 발생할 경우 가장 수익성이 높은 자산으로 금(金)이 압도적으로 선택되었습니다.
💡 가장 인기 있는 투자 자산: 매그니피센트 7
현재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매수한 자산은 매그니피센트 7(Magnificent 7, 애플·마이크로소프트·아마존·구글·엔비디아·테슬라·메타)이며, 이들 주식은 전체 매수 비중의 56%를 차지했습니다. 그 뒤를 이어 미국 달러 매수와 암호화폐 투자가 인기 있는 투자 대상으로 꼽혔습니다.
올해 시장에서 버핏의 보수적인 접근이 옳을지, 펀드 매니저들의 강한 매수 전략이 맞을지는 시간이 지나봐야 알 수 있습니다.
현금 보유량이 역사적 저점 수준까지 떨어진 상황에서, 시장이 추가 상승할 경우 펀드 매니저들의 전략이 성공할 가능성이 큽니다. 반면, 만약 시장이 조정을 받거나 급락할 경우 버핏의 신중한 전략이 빛을 발할 것입니다.
앞으로도 글로벌 금융 시장이 어떻게 움직일지, 그리고 2024년 후반부의 경제 지표와 연준의 금리 정책이 투자자들의 전략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방어적 투자가 원칙이기 때문에, 현재 지표도 과열되어 있고 경기침체 및 과열지표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방어적인 포지션을 취하고 있습니다. 다만, 버블이 꺼지기 직전에는 버블입니다. 버블, 즉 주가가 많이 상승한다는 뜻이기에 포트폴리오의 주식 소량 비중은 충분히 투자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다들 경제상황과 지표를 확인하면서 성공투자하기를 기도하겠습니다.:)
'경제공부 > 경제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38년까지 신규 원전 2기·SMR 1기 건설 (1) | 2025.02.21 |
---|---|
고환율로 절반 이상 중소기업 피해봤다 (0) | 2025.02.20 |
범부처 '핵심광물 투자협의회' 출범과 공급망 안정화기금 조성 분석 (0) | 2025.02.18 |
금도 아닌데 가격 급등하고 있는 이 원자재! (0) | 2025.02.17 |
우크라이나 재건주는 어떤것들이 있을까? (0)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