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경제신문

4분기 한국 경제성장률 발표! (마이너스는 아니네..)

반응형

출처_한국은행

 

 

작년 韓경제 성장률 '2.0%' 턱걸이…4분기 GDP 0.1% 증가

작년 韓경제 성장률 '2.0%' 턱걸이…4분기 GDP 0.1% 증가, 강진규 기자, 경제

www.hankyung.com

 

📣 한국 경제 성장률, 2.0% 간신히 달성한 이유는?


  • 한국 경제 성장률 2.0%: 한국 경제가 2024년 연간 성장률 2.0%를 기록하며 턱걸이 수준의 성과를 보였습니다.
  • 4분기 GDP 증가율 0.1%: 작년 4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전 분기 대비 0.1% 증가에 그쳤습니다.
  • 내수 위축과 건설투자 감소: 내수 소비 심리가 위축되고, 건설투자가 급감한 것이 주요 요인입니다.
  • 수출 기여도 확대: 순수출이 성장률의 90%를 차지하며 경제를 지탱했습니다.
  • 탄핵 정국과 비상계엄: 정치적 불안정과 대내외 리스크가 소비 심리를 크게 위축시켰습니다.
  • 건설 경기 악화: 건물과 토목건설 모두 감소하면서 건설투자가 -2.7%로 하락했습니다.
  • 소비 위축: 카드 사용액 감소와 고가품 소비 둔화가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 수출 확대를 통한 성장: 반도체 등 수출 주도형 산업이 경제 성장률 2.0% 달성에 기여했습니다.
  • 정부 소비 증가: 건강보험급여비와 같은 정부 소비가 안정적인 지원 역할을 했습니다.

 

 

📌 경제 용어 확인 


  • 국내총생산(GDP): 한 나라에서 일정 기간 동안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시장 가치를 합한 것.
  • 순수출 기여도: 수출에서 수입을 뺀 순수출이 경제 성장률에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 내수: 국내에서 생산되고 소비되는 상품과 서비스의 총량.
  • 총고정자본형성: 건설과 설비투자 등 경제에 투자되는 자본의 총합.
  • 준내구재: 의류나 신발처럼 비교적 짧은 기간 사용 가능한 재화.

 

 

🔎 질문할 수 있는 점은?


  • 왜 내수 소비는 경제 성장에 크게 기여하지 못했을까?
    • 내수 소비가 증가했지만, 증가율이 둔화되었습니다. 특히 건설투자의 급감과 소비 둔화가 내수 경제 기여도를 상쇄했습니다. 또한, 정치적 불안정이 소비 심리 위축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 탄핵 정국이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쳤나요?
    • 탄핵 정국은 정치적 불확실성을 증대시키며 기업과 소비자 심리를 위축시켰습니다. 이로 인해 소비 지출이 줄어들고 투자 의욕이 감소하여 경제 성장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 왜 순수출 기여도가 90%에 이를 정도로 높았나요?
    • 반도체, 자동차 등 수출 주도 산업의 성과가 좋았던 반면, 내수가 침체되어 상대적으로 순수출이 경제 성장의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수입 감소도 순수출 기여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습니다.

 

 

📊 어떻게 투자에 적용할 수 있을까?


  • ETF 투자:
    • 반도체 ETF: 한국의 주요 수출 산업인 반도체와 관련된 ETF는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반도체 산업은 기술 발전과 수출 증가로 인해 장기적으로 유망합니다.
    • 자동차 ETF: 전기차와 자율주행차의 발전으로 인해 자동차 산업 관련 ETF 역시 투자 매력이 높습니다.

 

  • 리츠 투자:
    • 건물 리츠: 건설 경기가 둔화된 상황에서도 리츠 상품은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제공합니다. 특히 상업용 부동산 리츠는 변동성이 낮고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합니다.
    • 물류 리츠: 전자상거래 성장과 물류센터 수요 증가를 고려하면 물류 리츠는 유망한 투자처로 평가됩니다.

 

 

2024년 한국 경제는 연간 성장률 2.0%를 기록하며 턱걸이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특히 4분기 GDP 증가율은 0.1%에 그쳐 내수 위축과 건설투자 감소가 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반면, 순수출은 경제 성장률의 90%를 차지하며 주요 수출 산업이 경제를 지탱했습니다. 정치적 불안정과 경기 침체 우려 속에서도 반도체와 자동차 등 수출 중심 산업이 성장의 핵심 역할을 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