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경제신문

트럼프 관세에 한국기업들은 어떻게 대응하고 있을까?

반응형

 

 

'메이크 인 USA' 올라탄 삼성·LG…멕시코産 가전, 美로 이전 추진

'메이크 인 USA' 올라탄 삼성·LG…멕시코産 가전, 美로 이전 추진, 트럼프 2기 출범 (4) 국내 영향 - 트럼프 관세 대응 나선 韓기업 트럼프 멕시코産 관세 예고에 삼성, 美 사우스캐롤라이나로 일부

www.hankyung.com

 

📣 트럼프 관세, 한국 기업의 '초강수'는?


  • 트럼프 관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와 캐나다산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 삼성 대응: 삼성전자는 미국 공장에서 건조기 등 일부 가전제품을 생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LG 대응: LG전자는 미국 테네시주 공장의 확장을 통해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려고 합니다.
  • 관세 폭탄의 영향: 기존 멕시코 생산의 물류비 및 인건비 이점이 상쇄되며 새로운 전략이 필요해졌습니다.
  • 시장 점유율 확보: 미국 현지 생산은 관세 부담뿐만 아니라 제품 공급 속도를 크게 단축합니다.
  • 삼성과 LG는 각각 미국 공장을 중심으로 새로운 생산 라인을 설계하고 확대합니다.
  • 현대자동차와 기아는 미국 내 전기차 생산을 늘려 IRA 폐지 가능성에도 대비하고 있습니다.

 

 

📌 경제 용어 확인 


  • 관세 폭탄: 높은 세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정책.
  • 세이프가드: 특정 품목의 수입 증가로 인한 국내 산업 피해를 막기 위해 발동되는 조치.
  • IRA (인플레이션 감축법): 미국에서 전기차 보조금 지급 기준을 규정하는 법안.
  • 투자 세액공제: 기업이 투자한 금액의 일정 비율을 세금에서 공제해 주는 제도.
  • 프리미엄 제품: 고급형으로 설계된 고가 제품.

 

 

🔎 트럼프 관세는 한국 기업의 수익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와 캐나다산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면, 한국 기업들은 큰 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생산비용 증가

  • 한국 기업들은 멕시코나 캐나다 공장에서 저렴한 인건비와 물류비로 생산비를 절감해 왔습니다. 하지만 관세가 25%로 급증하면 제품 가격이 올라가게 됩니다.
  • 예를 들어, 멕시코에서 생산한 가전제품을 미국으로 수출할 경우, 기존 가격보다 최소 25% 비싸게 판매해야 합니다. 이는 경쟁력 약화를 의미합니다.

 

판매량 감소

  • 미국 시장은 한국 기업들에게 매우 중요한 수출 대상국입니다. 관세로 인해 가격이 상승하면 소비자들이 더 저렴한 대체 제품을 선택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 특히, TV와 냉장고 같은 고가 가전제품은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윤 감소

  • 관세로 인해 가격을 올리지 않고 기존 가격을 유지하려 한다면, 한국 기업들은 마진(이익률)을 희생해야 합니다.
  • 결국, 수익성이 떨어지고 장기적으로 기업의 재무 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어떻게 투자에 적용할 수 있을까?


미국 내 제조업 성장에 투자하기

  • 미국 상장 기업 주식
    • 미국 내 제조업 공장을 운영하거나 현지 생산 비중이 높은 기업의 주식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 산업 ETF 투자
    • XLI: 미국 산업주 ETF
    • SOXX: 반도체 ETF (IRA 보조금 관련 반도체 기업 수혜 예상).
    • 미국 제조업 또는 기술주 ETF를 통해 제조업 성장의 수혜를 누릴 수 있습니다.

미국 제조업 확대는 현지 생산 기반이 강화되면서 관련 기업과 산업 전체의 성장 기회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 정책이 재등장하면 미국 내 제조업 및 관련 기술 산업에 대한 투자 환경이 더 유리해질 것입니다.

 

위험 회피를 위한 방어적 투자

  • 금 및 원자재 투자
    • 금 ETF: SPDR Gold Shares(GLD)
    • 금광 기업 주식: Barrick Gold, Newmont Corporation.
    • 무역 긴장 및 불확실성이 높아질 경우, 금과 같은 안전 자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합니다.
  • 채권형 ETF
    • AGG: 미국 종합 채권 ETF
    • BND: 글로벌 채권 ETF.
    • 글로벌 금융 시장 불안정성에 대비해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하는 채권 ETF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트럼프의 강경 정책은 시장 변동성을 키울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를 대비한 방어적 포트폴리오가 필요합니다. 금과 채권은 경제 위기나 불확실성 상황에서 안전한 피난처 역할을 합니다.

 

투자 시 주의사항

  • 정책 리스크
    • 트럼프의 정책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투자하는 것은 위험이 따릅니다. 충분히 정책 방향을 확인한 후 대응해야 합니다. 
  • 시장 변동성 관리
    • 글로벌 긴장감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분산 투자와 방어적 자산 투자로 리스크를 관리해야 합니다.
  • 장기적 관점 유지
    • 제조업 변화와 정책은 단기적으로는 변동성을 야기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투자 가치를 제공할 가능성이 큽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2기 정책으로 멕시코산 제품에 대한 높은 관세가 예고되면서,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생산 라인을 미국으로 이전하거나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삼성은 사우스캐롤라이나 공장으로 일부 가전제품 생산을 이전하고, LG는 테네시 공장에서 생산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현대자동차와 기아 또한 미국 내 생산량 증대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