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지표/경제지표의 개념

금리 변동로 보는 경제 진단 (feat. 테일러 룰, 일드 커브)

반응형

 

 

금리는 기본적으로 돈의 값, 즉 대출을 받을 때 지불하는 이자율을 의미합니다. 국가가 돈을 빌리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의 이자율이 금리에 해당하며, 금리의 변동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금리의 개념과 다양한 종류, 그리고 그 변화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쉽게 설명해보겠습니다.

 

 금리의 종류

 

금리는 여러 가지 기준에 따라 구분할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단기금리와 장기금리, 정책금리와 시중금리로 나누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단기금리와 장기금리

금리는 기간에 따라 나눌 수 있습니다.

  • 단기금리
    • 보통 2년 이하의 국채에서 적용됩니다. 단기금리는 미래를 예측하기 쉬워 상대적으로 리스크가 적습니다. 그 때문에 금리가 낮은 편입니다.
  • 장기금리
    • 10년 이상의 국채에서 적용되며, 예측하기 어려운 미래를 반영합니다. 그 때문에 장기금리는 높은 리스크를 반영하고, 그에 따라 높은 금리가 요구됩니다.

일반적으로 단기금리가 장기금리보다 낮습니다. 이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예측 불확실성이 커지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더 높은 이자율을 요구하기 때문입니다.

 

2. 정책금리와 시중금리

  • 정책금리
    • 중앙은행이 결정하는 금리로, 주로 기준금리라고 불립니다. 예를 들어,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는 매달 FOMC 회의에서 정책금리를 결정합니다.
  • 시중금리
    • 시장에서 자유롭게 결정되는 금리입니다. 일반적으로 미국 10년 국채 금리가 시중금리를 대표하는 예시로 자주 사용됩니다.

시중금리가 높다는 것은 경제 성장에 대한 기대가 높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금리가 낮아지면 경기 침체가 우려된다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금리와 경제의 관계

 

금리가 상승하면 경제에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연준이 금리를 올리면 단기채 금리는 급등하고, 장기금리와 단기금리의 차이도 급격히 줄어듭니다. 금리가 올라가면 대출이 어려워지고, 소비와 투자가 감소하면서 경기가 둔화됩니다. 특히, 단기금리는 빠르게 반응하며, 경제는 빠르게 냉각됩니다.

시중금리가 높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시중금리가 높다는 것은 경기 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높다는 신호입니다. 장기금리가 높다면, 장기적인 경제 성장이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반대로 금리가 낮다면, 경제 성장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는 해석이 가능합니다.

일드 커브 (Yield Curve)란?
일드 커브는 채권의 금리를 이어 놓은 곡선입니다. 금리 차이를 기반으로 한 곡선이기 때문에 금리 변화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일드 커브가 우상향하면, 장기 금리가 단기 금리보다 높다는 의미입니다. 일반적으로 경제가 성장 중일 때, 장기금리가 단기금리보다 높습니다. 일드 커브가 평평해지거나 역전되면, 경기 침체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07년에는 일드 커브가 역전되었고, 2008년 미국 경제는 불황에 접어들었습니다.

 

 금리 정책과 경제 성장

 

중앙은행은 금리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금리는 경제 성장과 인플레이션을 제어하는 중요한 도구로 사용됩니다.

1. 양적완화 (QE)와 양적긴축 (QT)

  • 양적완화 (QE)
    • 중앙은행이 채권을 매입하여 시장에 돈을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이때 금리가 낮아지고, 경기를 부양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 양적긴축 (QT)
    • QE와 반대로 중앙은행이 보유한 채권을 매도하여 시장에서 돈을 회수하는 방식입니다. 금리가 상승하고, 경기는 둔화됩니다.

2. 테일러룰 (Taylor Rule)

테일러룰은 적정 금리를 결정하는 경제학적인 모델입니다. 이 모델에 따르면, 금리는 인플레이션과 성장률을 바탕으로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인플레이션이 높거나 성장률이 과도하게 높을 때, 적정 금리는 더 높아야 한다는 원칙을 따릅니다. 테일러룰은 금리가 너무 낮을 때, 특히 경제가 과열될 가능성이 있을 때 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신호를 보냅니다.

 

금리를 예측하는 방법

 

  • FOMC 점도표
    • 연준이 매년 8번 발표하는 금리 전망으로, 미래의 금리 변동을 예측하는 데 유용합니다.
  • 페드워치(Fed Watch)
    • 연준의 금리 정책 변화를 예측하는 지표로, 금리 선물의 변동 확률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금리와 경제 성장, 인플레이션의 관계

 

금리, 경제 성장, 인플레이션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고금리, 고성장, 고물가는 세트) 금리가 상승하면 경제가 둔화되고, 반대로 금리가 낮아지면 경제가 활기를 띠게 됩니다. 또한, 금리는 인플레이션과 직결되며, 인플레이션이 높아지면 금리는 더 올라가야 하므로, 경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려면 적절한 금리 정책이 중요합니다.

금리는 단기와 장기의 구분, 정책금리와 시중금리 등 여러 요소에 의해 결정됩니다. 금리의 변동은 경제 성장, 인플레이션, 그리고 정부와 중앙은행의 정책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금리를 통해 경제의 상태를 진단하고, 미래의 경제 상황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한방 요약

 

  • 단기금리는 기간이 짧은 채권에 적용되고, 장기금리는 기간이 긴 채권에 적용됩니다.
  • 정책금리는 중앙은행이 결정하고, 시중금리는 시장에서 결정됩니다.
  • 금리가 올라가면 경제는 둔화되고, 금리가 내려가면 경기가 활성화됩니다.
  • 일드 커브는 금리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며, 경기의 흐름을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 금리는 경제 성장과 인플레이션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중앙은행의 금리 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잘 이해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