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마녀의 날(Quadruple Witching Day)
오늘은 금융시장에서 자주 언급되는 중요한 날인 네 마녀의 날(Quadruple Witching Day)에 대해 쉽고 재미있게 알려드리겠습니다.
경제 뉴스나 주식 뉴스에서 자주 등장하는 말인데, 이름부터 조금 신기하고 무섭게 들릴 수도 있죠.
하지만 걱정하지 마세요.
아주 간단하고 흥미로운 개념입니다.
그럼 지금부터 네 마녀의 날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네 마녀의 날이란 정확히 무슨 뜻인가요?
네 마녀의 날은 영어로 '쿼드러플 위칭데이(Quadruple Witching Day)'라고 합니다.
여기서 ‘쿼드러플(Quadruple)’이란 '4가지'를 의미하고, ‘위칭(Witching)’은 '마녀가 마법을 부리는'이란 뜻이죠.
즉, 네 가지 금융상품이 동시에 만기를 맞이하는 날을 뜻하는 말입니다.
금융시장에서 '만기'란 간단히 말해 금융상품의 계약 기간이 끝나는 날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이날은 주식시장에서 갑자기 큰 변화나 혼란이 생길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렇게 네 가지의 금융상품이 한꺼번에 끝나는 날이라 투자자들은 모두 긴장하게 됩니다.
그래서 다소 무시무시한 표현인 '마녀의 날'이라는 용어를 쓰는 것이죠.
여기서 말하는 네 가지 금융상품은 바로 아래와 같습니다.
- 주가지수 선물
- 주가지수 옵션
- 개별주식 선물
- 개별주식 옵션
이 네 가지 상품이 동시에 만기가 되는 날이라서 주식시장은 평소보다 변동성이 매우 커지고, 투자자들이 혼란에 빠질 수 있습니다.
네 마녀의 날은 언제 찾아오나요?
네 마녀의 날은 1년에 총 네 번 있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매년 3월, 6월, 9월, 12월의 세 번째 금요일입니다.
이날 금융상품들이 동시에 만기가 도래하기 때문에 주식시장에 많은 변화가 생깁니다.
투자자들은 이날을 기억하고 미리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네 마녀의 날이 왜 중요한가요?
네 마녀의 날이 되면 금융시장이 흔들리는 이유는 바로 '만기' 때문입니다.
만기가 되면 투자자들은 기존 계약을 마무리해야 하고, 새로운 계약을 맺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엄청난 양의 주식과 금융상품이 한꺼번에 거래됩니다.
거래량이 갑자기 증가하면서 시장의 가격 변동도 매우 심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식가격이 갑자기 크게 오르거나 떨어지기도 하고, 시장 전체가 크게 움직이는 경우도 많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이 날이 오기 전에 미리 전략을 세워두고 조심히 대응해야 합니다.
실제로 네 마녀의 날에는 어떤 일들이 일어났을까요?
네 마녀의 날은 금융시장에서 자주 큰 사건을 일으키곤 했습니다.
과거 실제로 어떤 일이 있었는지 두 가지 예시를 들어 보겠습니다.
1. 2008년 3월 네 마녀의 날 – 금융 위기의 시작
가장 대표적인 사건으로는 2008년 3월의 네 마녀의 날이 있습니다.
당시 글로벌 금융위기가 시작되던 시점이었고, 이날 투자자들의 불안감이 커지면서 주가가 급격히 하락했습니다.
실제로 미국의 대표적 주가지수인 다우존스 지수는 하루 동안 약 200포인트 이상 하락하며 시장 전체를 혼란스럽게 만들었습니다.
당시 네 마녀의 날을 앞두고 많은 투자자들이 위험을 줄이기 위해 급하게 매도를 시작했고, 이 때문에 시장의 변동성이 극단적으로 커졌습니다.
이 사건은 금융시장에서 네 마녀의 날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로 꼽힙니다.
2. 2020년 3월 네 마녀의 날 –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시장 혼란
또 다른 대표적인 사례는 바로 2020년 3월의 네 마녀의 날입니다.
이때는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팬데믹이 본격적으로 확산되던 시기였습니다.
이날 미국 증시에서는 하루 거래량이 평소의 몇 배로 급증했습니다.
팬데믹으로 인해 시장 불안이 최고조에 달했기 때문입니다.
이날 S&P 500 지수는 하루 동안 4% 넘게 떨어졌고, 투자자들이 급격하게 주식을 팔아치우면서 시장은 큰 혼란을 겪었습니다.
이처럼 시장이 매우 불안한 시기에 네 마녀의 날이 겹치게 되면 더욱 더 큰 변동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네 마녀의 날에는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요?
네 마녀의 날은 반드시 나쁜 날은 아닙니다.
잘 준비하고 대비한다면 오히려 좋은 기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변동성이 큰 만큼 무리한 투자를 하지 않고 조심히 시장 상황을 살피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장기적으로 투자하는 사람이라면 이날 하루의 큰 변동성에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그러나 단기적으로 거래를 하는 투자자라면 이날의 변동성을 예상하고 신중하게 투자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예를 들어, 주식을 많이 보유한 사람들은 네 마녀의 날 직전에 미리 위험한 주식을 줄이고 현금 비중을 높이는 등의 전략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또는 네 마녀의 날이 끝난 후 시장이 안정되었을 때 다시 투자를 시작하는 전략도 많이 쓰입니다.
네 마녀의 날, 꼭 알아두어야 합니다!
네 마녀의 날은 금융시장에 아주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날입니다.
무시무시한 이름이지만 사실 그 의미는 간단하죠.
네 가지 금융상품이 동시에 만기를 맞이하는 날
즉 거래량과 변동성이 많아지는 날입니다.
따라서 투자자라면 이 날을 미리 기억해두고 대응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개인적으로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는 신만이 알기에 변동성이 큰 시기에는 보수적으로 운영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다들 잃지 않는 투자를 하기를 바라면서 오늘의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더 많은 인사이트가 필요하신가요?
블록딜 뜻과 주식 시장에서의 영향 (feat. 왜 하는걸까?)
주식 시장에서 블록딜(Block Deal)이란, 대량의 주식을 한 번에 매매하는 거래 방식입니다. 일반적인 주식 거래는 시장에서 개별적으로 이루어지지만, 블록딜은 특정 조건을 갖춘 기관이나 대형 투
ivestmentworld.tistory.com
공포 탐욕 지수(Fear & Greed Index) 뜻과 해석방법
📣 공포 탐욕 지수(Fear & Greed Index) 란?Fear & Greed Index(공포와 탐욕 지수)는 투자 심리를 측정하는 지표로, CNN Business에서 제공하는 도구입니다. 이 지수는 투자자들이 시장에 대해 얼마나 두려워하
ivestmentworld.tistory.com
일본과 미국의 물가 상승 원인 및 경제 상황 살펴보기
2024년 12월, 일본과 미국에서 물가 상승률이 각기 다른 양상을 보였습니다. 일본은 2%의 물가 상승률을 목표로 관리하고 있으며, 미국은 3%를 목표로 물가 관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 두 나라의
ivestmentworld.tistory.com
'경제공부 > 경제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퀀트 투자 뜻과 대표적인 퀀트 투자 전략 4가지 (0) | 2025.03.14 |
---|---|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 CBDC 뜻 (feat. 암호화폐와 뭐가 다른걸까?) (1) | 2025.03.13 |
ESG 투자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2) | 2025.03.10 |
공매도 뜻과 원리 (feat. 장점과 단점 및 주식시장의 영향 등) (0) | 2025.03.06 |
기업이 자기주식을 매수하면 주가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0) | 2025.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