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코드라마" 트럼프 관세에 불만 폭발…공화당마저 정색
"사이코드라마" 트럼프 관세에 불만 폭발…공화당마저 정색, 캐나다·멕시코산 상품 '25% 관세' 이틀 만에 유예 오락가락 '트럼프 관세'…美기업도 정치권도 불만 한 달간 '엄포 후 유예' 반복 車·
www.hankyung.com
1. 미국, 캐나다·멕시코산 제품 25% 관세 유예 결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수입하는 제품에 25%의 높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지 불과 이틀 만에 해당 조치를 유예하기로 했습니다.
이처럼 자주 바뀌는 정책 방향에 대해 미국 내 기업과 정치권에서도 혼란스럽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습니다.
트럼프 관세 정책 변화 과정
- 3월 1일: 캐나다·멕시코산 제품에 25% 관세 부과 발표
- 3월 3일: 관세 시행 이틀 만에 한 달 유예 결정
- 3월 4일: 자동차는 관세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발표
- 3월 6일: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협정(USMCA) 적용 품목의 관세 유예 결정(4월 2일까지)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정책을 수시로 바꾸는 이유는 기업과 소비자의 반발을 의식한 것으로 보입니다. 기업들은 관세가 소비자 물가를 상승시켜 경제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2. 미국 자동차·유통업계의 강한 반발
자동차 업계의 반응
GM, 포드, 스텔란티스 등 미국 빅3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조립한 차량을 미국으로 수입하는 비중이 높습니다. 만약 25% 관세가 부과되면, 자동차 생산 비용이 증가하고 그 부담이 소비자에게 전가될 가능성이 큽니다.
미국 주요 자동차 제조사의 멕시코·캐나다산 차량 비중
- GM: 멕시코산 22%, 캐나다산 5.2%
- 포드: 멕시코산 15%, 캐나다산 3.3%
- 스텔란티스: 멕시코산 23%, 캐나다산 11%
자동차 업계 관계자들은 “관세가 유지되면 차량 가격이 급등해 소비가 줄어들고, 결과적으로 자동차 판매량이 감소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유통업계의 반발
미국의 주요 유통업체인 타깃(Target)과 베스트바이(Best Buy)도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수입하는 생활용품과 전자제품에도 높은 관세가 부과될 경우, 결국 소비자들이 더 비싼 가격을 지불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기업들이 강하게 반발하는 이유는 관세가 물가 상승을 부추기고 소비를 위축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정책을 유예한 것도 이 같은 우려를 고려한 것으로 보입니다.
3. 공화당 내부에서도 반발 증가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대한 불만은 공화당 내부에서도 나오고 있습니다. 토드 영 공화당 상원의원은 “백악관이 관세 전략을 보다 명확히 설명해야 한다”며, 정책이 계속 바뀌는 것이 경제에 불확실성을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캐나다도 강한 불만을 나타냈습니다. 멜라니 졸리 캐나다 외무장관은 “이런 사이코드라마를 30일마다 되풀이하고 싶지 않다”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4. 향후 관세 정책 방향…상호관세 도입 가능성
트럼프 행정부는 기존의 관세 전략을 상호관세 방식으로 조정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미국이 각국으로부터 부과받는 관세와 비관세 장벽을 고려해, 그에 상응하는 수준의 관세를 매기는 방식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도 강경한 무역 정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중국 대상 관세 부과 현황
- 3월 4일: 중국산 제품에 10% 추가 관세 부과
- 4월 4일: 추가로 10% 관세 인상 → 총 20% 추가 관세
철강과 알루미늄 등 일부 품목에 대한 관세는 그대로 유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알루미늄 관세는 조정하지 않는다”고 밝혔습니다.
5. 미국 관세 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
① 미국 소비자 물가 상승 가능성
만약 관세 부과가 지속되면 자동차, 가전제품, 생활필수품 등의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소비자 부담 증가로 이어지고,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② 미국 기업들의 생산 전략 변화
GM, 포드, 스텔란티스 등 자동차 제조사들은 장기적으로 멕시코·캐나다에서의 생산을 줄이고 미국 내 공장을 확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단기간에 이루어지기 어려우며, 생산비 증가로 인해 차량 가격이 오를 위험이 큽니다.
③ 글로벌 무역 갈등 확대 가능성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지속될 경우, 캐나다·멕시코뿐만 아니라 유럽연합(EU), 일본, 중국 등 주요 교역국과의 무역 마찰이 심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글로벌 공급망을 혼란스럽게 만들 수 있으며, 기업들의 투자 심리를 위축시킬 수도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미국 기업과 소비자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글로벌 경제에도 큰 파장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큽니다.
▪️ 단기적으로는 미국 내 물가 상승과 소비 위축 가능성
▪️ 장기적으로는 글로벌 무역 갈등 심화 및 공급망 재편 가능성
향후 미국 정부가 어떤 방식으로 관세 정책을 조정할지, 그리고 기업들이 어떻게 대응할지가 관건이 될 것입니다.
💡더 많은 인사이트가 필요하신가요?
미국의 재정적자와 트럼프 관세 전쟁 시작
안녕하세요! 오늘은 요즘 뉴스에서 자주 등장하는 미국의 재정적자, 관세 정책, 그리고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어려운 경제 용어를 쉽게 풀어서 설명해드릴 테
ivestmentworld.tistory.com
'경제공부 > 경제신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이 답이다? 불안한 시기에는 금투자가 안전하다? (0) | 2025.03.27 |
---|---|
환율 1470원 돌파! 원화 약세가 계속될까?! (0) | 2025.03.25 |
한국 물가 전망 (feat. 한은 "환율 상승으로 물가 2% 근방 등락 예상") (0) | 2025.03.06 |
미국 트럼프의 25% 관세, 자동차 산업 직격탄 (0) | 2025.03.05 |
관세 공포’에 얼어붙은 기업 투자… 한국 경제 성장률 1.5%도 무너질까? (0) | 2025.03.04 |